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운데)가 1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창당 60주년 기념 심포지엄에서 전병헌 최고위원과 얘기하고 있다. 오른쪽은 이종걸 원내대표. 연합뉴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운데)가 1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창당 60주년 기념 심포지엄에서 전병헌 최고위원과 얘기하고 있다. 오른쪽은 이종걸 원내대표. 연합뉴스
내년 총선 ‘공천 룰’을 정하는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안이 지난 16일 중앙위원회에서 통과됐지만 당내 갈등은 더 심화되는 양상이다. 이날 중앙위 회의가 당내 갈등을 봉합하기보다는 친노(친노무현)-비노 간 전면전을 조장하게 됐다는 관측도 나온다.

혁신안 통과에 대표직을 걸었던 문재인 대표는 “자신에 대한 재신임 절차를 따로 밟겠다”고 밝힌 뒤 23일이나 24일께 재신임 문제를 마무리짓겠다는 뜻을 고수하고 있다. 최재성 총무본부장은 17일 기자간담회에서 “재신임 외에는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하는데 현재로선 없지 않으냐”며 추석 전 재신임 투표를 기정사실화했다.

비주류는 ‘재신임 투표’를 반대하며 문 대표의 결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박지원 의원은 트위터 글을 통해 “문 대표는 재신임 제안을 철회해야 한다”며 “당내 안철수 의원 등 다수가 반대한다면 문 대표는 통합의 길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중앙위 개최를 반대했던 안 의원은 이날 “정당대표가 재신임 투표를 한 예가 있었는지 모르겠다”며 “정치조직은 정치적으로 풀고 반대가 있다면 반대하는 분들을 정치적으로 설득해야 한다”고 재신임 투표 취소를 재차 요구했다. 이종걸 원내대표도 “(문 대표가) 미래지향적 결단을 내려주기 바란다”며 재신임 투표에 반대했다.

새정치연합 내 계파 갈등이 일촉즉발의 세 대결로 변한 것은 내년 총선 공천을 앞두고 호남 등 지역과 선수(選數),계파 간 복잡한 이해관계 때문이란 분석이 많다. 정치신인 가점제와 현역 의원 하위 20% ‘물갈이’ 등 공천 혁신안에 대한 거부감이 특정 계파의 집단 반발로 표출되고 있다는 해석도 있다. 비주류 측에서는 “주류 친노계 위주로 공천 판을 짜려는 것 아니냐”는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야권 일각에선 전략 공천 비율을 20%까지 적용하면 수도권과 호남 지역 현역 의원의 물갈이 비율은 절반이 될 수 있을 것이란 전망도 하고 있다.

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