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사진)은 16일(현지시간) “북한의 핵개발 위협을 끝내기 위해서는 경제제재만으로는 부족하며 다른 수단을 모색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케리 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지난 15일 핵실험 가능성을 시사한 것에 대해 “중대한 결과”를 맞을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케리 장관은 구체적인 수단을 언급하지 않았으나 전날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의 회담에서 경제제재 외 다른 대북 압박 수단을 조율했다고 밝혔다.

한국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도 이날 “북한이 위성 발사를 강행할 경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추가 조치를 부르고 더욱 더 심각한 고립의 길을 자초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방미 중인 황 본부장은 이날 워싱턴DC 국무부 청사에서 성김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와 회담한 직후 “북한의 위성 발사는 공공연한 핵무기 개발의 연장선에서 핵무기 투발 능력을 고도화하기 위한 시험으로 간주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황 본부장은 “한국과 미국은 대화에 대해 열려 있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며 북한이 진지한 자세로 비핵화 대화에 나올 것을 촉구했다.

황 본부장은 이날 성김 대표와 북핵 문제에 대한 한·미 공조 방안을 논의했다. 17일에는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관계자들과 면담하고 워싱턴 한반도 전문가들을 만나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한국과 미 국방부도 오는 23일 서울에서 제8차 한·미 통합국방협의체(KIDD)를 열고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 도발 억제와 공동대응을 위한 정책공조 방안을 협의한다.

전예진 기자 ac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