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18일 서울시 남대문로 한국장학재단에서 ‘청년 니트의 실태와 대책’을 주제로 ‘제51회 미래인재포럼’을 열었다. 청년 니트는 취업하지 않으면서 직업훈련, 교육 등을 받지 않는 청년층을 가리킨다.
채창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위원은 “15~29세 인구 가운데 구직활동조차 하지 않는 국내 비경제활동 니트족 비율이 15.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운데 네 번째로 높고 회원국 평균(8.7%)의 두 배 수준”이라며 “니트를 방치하면 청년 부채, 미래 성장동력 저하, 세대 간 갈등 등 사회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채 연구위원은 “현재 청년고용정책은 주로 구직 의사가 있는 청년층 중심”이라며 “직업기초능력 부족, 대인관계 기피 경향 등 니트의 특성을 고려한 지원정책을 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교육-고용-복지기관이 연계된 민관협력 지원전담기관을 구축하고 청년이 직업교육에 참여하면 적정한 수당을 제공하는 가칭 한국형 청년보장 프로그램 도입을 제안했다. 프랑스는 18~26세 청년이 구직과 직업교육 과정을 1년 동안 밟겠다고 약속하면 월 452유로(약 57만원)의 ‘알로카시옹(현금수당)’을 지급하고 있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