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A 정보보호 인력 유출 심각…5년간 309명 퇴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낮은 임금과 복지 탓"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정보보호를 담당하는 전문 인력 유출이 심각해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민식 새누리당 의원이 21일 공개한 KISA 퇴사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0~2014년 KISA를 퇴사한 486명 중 정보보호 전문 인력은 309명(63.6%)이었다. 퇴사한 인력 가운데 민간 기업체의 대리급인 주임, 선임 등 중간계층의 비중이 60%에 이르고 근속 7년 내외의 숙련된 정규직 퇴사도 많다고 지적했다.
인력 유출의 주요 원인으로는 낮은 보수와 복지 수준이 꼽혔다. 퇴사자들이 이직한 곳의 급여 수준은 KISA에 비해 평균 27%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민간분야로 이직한 퇴사자들의 급여는 최대 60% 높았다. KISA는 또 정보보호 대응 업무를 위한 인력 수요 증가 규모를 정규직 증원 분으로 충당하지 못해 전체 인력(556명)의 40.3%(224명)를 비정규직으로 채운 것으로 조사됐다.
사이버침해대응본부는 총 175명 중 정규직이 92명, 비정규직이 83명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의 평균 근무기간은 47개월로 4년을 채우지 못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박 의원은 “갈수록 다양화·고도화하는 사이버 침해에 대응하기 위해선 전문 인력 유출을 막고 정보보호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추가영 기자 gychu@hankyung.com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민식 새누리당 의원이 21일 공개한 KISA 퇴사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0~2014년 KISA를 퇴사한 486명 중 정보보호 전문 인력은 309명(63.6%)이었다. 퇴사한 인력 가운데 민간 기업체의 대리급인 주임, 선임 등 중간계층의 비중이 60%에 이르고 근속 7년 내외의 숙련된 정규직 퇴사도 많다고 지적했다.
인력 유출의 주요 원인으로는 낮은 보수와 복지 수준이 꼽혔다. 퇴사자들이 이직한 곳의 급여 수준은 KISA에 비해 평균 27%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민간분야로 이직한 퇴사자들의 급여는 최대 60% 높았다. KISA는 또 정보보호 대응 업무를 위한 인력 수요 증가 규모를 정규직 증원 분으로 충당하지 못해 전체 인력(556명)의 40.3%(224명)를 비정규직으로 채운 것으로 조사됐다.
사이버침해대응본부는 총 175명 중 정규직이 92명, 비정규직이 83명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의 평균 근무기간은 47개월로 4년을 채우지 못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박 의원은 “갈수록 다양화·고도화하는 사이버 침해에 대응하기 위해선 전문 인력 유출을 막고 정보보호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추가영 기자 gyc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