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익률도 인덱스가 앞서
헬스케어·배당주섹터 ETF, 액티브펀드보다 수익률 높아
○장기투자에 유리한 인덱스펀드
21일 펀드평가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전체 국내 주식형 펀드 가운데 최근 3개월 수익률 상위 10위권은 전부 패시브펀드가 차지했다. 미래에셋TIGER자동차ETF와 삼성KODEX자동차ETF가 각각 10.58%, 9.58%로 1, 2위에 올랐다. 액티브펀드 중에선 플랭클린중소형주펀드(3개월 수익률 2.67%), 트러스톤장기고배당펀드(1.48%), 한화정통액티브(1.40%), 한화파이팅코리아정통액티브혼합투자신탁(1.39%), 한국밸류10년투자100세행복펀드 등이 20위권 안에 이름을 올렸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509/AA.10572681.1.jpg)
배당주 섹터에서는 미래에셋TIGER배당성장ETF와 삼성KODEX배당성장ETF가 연초 이후 수익률 21.95%, 21.22%를 기록했다. 유진챔피언배당주펀드(27.51%)를 제외한 나머지 액티브 배당주펀드 수익률을 웃도는 성과다. 미래에셋고배당포커스펀드(21.45%), KB액티브배당펀드(19.25%), 트러스톤장기고배당펀드(18.02%), 한국투자배당리더펀드(14.67%), 한국밸류10년투자배당펀드(10.19%) 등 대표 배당주펀드 수익률도 이들 ETF에는 미치지 못한다.
인덱스펀드는 연간 수수료가 0.4%가량으로 저렴하기 때문에 장기투자에 더욱 유리하다는 평가다. ‘유리MKF웰스토탈 인덱스펀드’는 2008년 8월 이후 누적수익률이 36.58%로 자산규모 상위 50위권 액티브펀드(26.79%)보다 9.79%포인트 높다. 김용광 삼성자산운용 마케팅본부장은 “장기 투자자라면 매년 1~2% 운용보수를 내야 하는 액티브펀드보다 인덱스펀드 등 패시브 투자가 수익률 면에서 유리하다”고 말했다.
○20조원 문턱 못 넘는 ETF 시장
![](https://img.hankyung.com/photo/201509/AA.10571715.1.jpg)
올 들어 해외지수형 ETF가 인기를 끌었지만 중국본토 레버리지 상품에 편중된 것은 한계라는 지적이다. 레버리지 ETF는 선물과 옵션 등 파생상품과 차입을 이용하는 상품이다. 이준용 미래에셋 멀티에셋 대표는 “해외 ETF는 레버리지 상품의 비중이 1.6%에 불과하지만 한국은 12%가 넘는다”며 “단기투자용 레버리지나 인버스 ETF에 자금이 몰렸다가 빠져나가는 것은 건전한 시장 발전에 걸림돌이 된다”고 지적했다.
허란 기자 w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