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 배출가스 조작, 오랜 관행…빙산의 일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폭스바겐과 같은 배출가스 검사시 데이터 조작은 자동차 업계 전반에 널리 퍼져 있는 수십 년 된 관행으로,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고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에서는 1970년대 자동차 배출가스에 대한 규제가 시작되자 1972년 포드가 배출가스를 줄이는 장치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한 게 환경보호청(EPA)에 발각돼 700만 달러(약 84억원)의 벌금을 문 게 시초였다.
이듬해에는 폭스바겐이 자동차 오염통제 시스템을 끄는 장치를 장착해 12만 달러(약 1억4000만원)의 벌금을 냈고, 그로부터 2년후에는 크라이슬러의 자동차 냉각 시스템에서 비슷한 장치가 발각돼 80만대의 리콜 명령을 받았다.
이후 EPA는 이런 눈속임 장치들을 전면 금지했지만, 이들 장치는 갈수록 정교해져 최근에는 폭스바겐의 디젤차량 1100만대가 소프트웨어 장착을 통해 눈속임으로 배출가스 검사를 받는 데에 이르렀다.
이 배출가스 조작 스캔들의 책임을 지고 폭스바겐의 최고경영자(CEO) 마르틴 빈터코른은 사임했다.
조스 딩스 유럽 교통환경연맹 사무국장은 "폭스바겐의 사례는 빙산의 일각으로, 이런 상황이 폭스바겐에 국한될 것이라고 보지 않는다"며 "다른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검사결과 데이터를 보면 그들도 역시 나쁘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LG 야심작 '조준호폰' 보니…듀얼카메라·전면엣지로 삼성에 도전장] [BMW 신형 7시리즈 신기술 봤더니..."손가락 동작으로 주요 기능 제어"] [자신감 회복한 '황의 마법'…내년 글로벌 매출 2조원 확신] [잘 나가던 아웃도어, 구조조정기 진입…휠라·금강제화 브랜드 접어] [자연계 수험생, 국영수 모두 만점 받아야 1등급]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미국에서는 1970년대 자동차 배출가스에 대한 규제가 시작되자 1972년 포드가 배출가스를 줄이는 장치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한 게 환경보호청(EPA)에 발각돼 700만 달러(약 84억원)의 벌금을 문 게 시초였다.
이듬해에는 폭스바겐이 자동차 오염통제 시스템을 끄는 장치를 장착해 12만 달러(약 1억4000만원)의 벌금을 냈고, 그로부터 2년후에는 크라이슬러의 자동차 냉각 시스템에서 비슷한 장치가 발각돼 80만대의 리콜 명령을 받았다.
이후 EPA는 이런 눈속임 장치들을 전면 금지했지만, 이들 장치는 갈수록 정교해져 최근에는 폭스바겐의 디젤차량 1100만대가 소프트웨어 장착을 통해 눈속임으로 배출가스 검사를 받는 데에 이르렀다.
이 배출가스 조작 스캔들의 책임을 지고 폭스바겐의 최고경영자(CEO) 마르틴 빈터코른은 사임했다.
조스 딩스 유럽 교통환경연맹 사무국장은 "폭스바겐의 사례는 빙산의 일각으로, 이런 상황이 폭스바겐에 국한될 것이라고 보지 않는다"며 "다른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검사결과 데이터를 보면 그들도 역시 나쁘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LG 야심작 '조준호폰' 보니…듀얼카메라·전면엣지로 삼성에 도전장] [BMW 신형 7시리즈 신기술 봤더니..."손가락 동작으로 주요 기능 제어"] [자신감 회복한 '황의 마법'…내년 글로벌 매출 2조원 확신] [잘 나가던 아웃도어, 구조조정기 진입…휠라·금강제화 브랜드 접어] [자연계 수험생, 국영수 모두 만점 받아야 1등급]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