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보다 지방의회가 더 무서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정 후진시키는 국회…거꾸로 가는 국회와 정부
기업에 압력·부당 청탁
사법처리 의원 1천여명
기업에 압력·부당 청탁
사법처리 의원 1천여명
민선 지방자치 20주년을 맞아 ‘지방의회 무용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지방정부를 견제하고 감시해야 할 지방의회가 각종 비리와 자질 부족으로 오히려 지방행정에 걸림돌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1991년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 2012년 말까지 임기 중 비위 사실로 사법처리된 지방의원은 1230명에 이른다. 임기 만료 후 적발된 사례는 제외한 수치여서 실제는 이보다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산된다.
1기 지방의회(1991년 4월~1995년 7월) 기간 중 비리를 저질러 사법처리된 지방의원은 164명이었다. 5기(2006년 7월~2010년 6월) 때 적발돼 사법처리된 지방의원은 이 보다 두 배 정도 늘어난 323명(전체의 7.15%)에 달했다.
지방자치 출범 당시 지방의원은 무보수 명예직이었다. 의정활동비만 받았다. 공식적인 급여는 2006년부터 지급됐다. 올해 전국 17개 광역 시·도 의원의 평균 연봉은 5450만원이다. 19대 국회의원 연봉(1억3796만원)의 절반에 못 미친다. 그렇지만 지방의원 공천을 받기 위한 경쟁률은 적게는 3 대 1, 많게는 10 대 1에 달한다.
지방의원들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심의·의결권을 갖고 있다. 예컨대 서울시 의원들은 연간 25조원이 넘는 예산을 다루고 시민 생활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조례도 제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방의원들은 각종 이권이나 부당한 청탁에 노출되기 쉽다. 일부 지방의원들은 자신의 권한을 이용해 이권에 개입하거나 압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서울의 한 구청 관계자는 “부탁을 들어주지 않으면 부서 예산 삭감 등 불이익을 당할까 봐 구의원 민원조차 거절하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지역 시·구의원들에게 찍히면 사업 인허가를 받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게 기업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1기 지방의회(1991년 4월~1995년 7월) 기간 중 비리를 저질러 사법처리된 지방의원은 164명이었다. 5기(2006년 7월~2010년 6월) 때 적발돼 사법처리된 지방의원은 이 보다 두 배 정도 늘어난 323명(전체의 7.15%)에 달했다.
지방자치 출범 당시 지방의원은 무보수 명예직이었다. 의정활동비만 받았다. 공식적인 급여는 2006년부터 지급됐다. 올해 전국 17개 광역 시·도 의원의 평균 연봉은 5450만원이다. 19대 국회의원 연봉(1억3796만원)의 절반에 못 미친다. 그렇지만 지방의원 공천을 받기 위한 경쟁률은 적게는 3 대 1, 많게는 10 대 1에 달한다.
지방의원들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심의·의결권을 갖고 있다. 예컨대 서울시 의원들은 연간 25조원이 넘는 예산을 다루고 시민 생활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조례도 제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방의원들은 각종 이권이나 부당한 청탁에 노출되기 쉽다. 일부 지방의원들은 자신의 권한을 이용해 이권에 개입하거나 압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서울의 한 구청 관계자는 “부탁을 들어주지 않으면 부서 예산 삭감 등 불이익을 당할까 봐 구의원 민원조차 거절하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지역 시·구의원들에게 찍히면 사업 인허가를 받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게 기업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