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기기·서버 부문도 공략
매출 비중 10% 이상 높일 것
권명숙 인텔코리아 사장(사진)은 7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사물인터넷(IoT) 시대에 엄청난 정보를 빠르게 처리하려면 프로세서 성능이 좋아지는 것만으로는 불가능하다”며 “인텔도 더 나은 메모리반도체를 만드는 데 뛰어들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와 경쟁하는 것이냐는 질문에는 “그렇게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권 사장은 삼성SDI에서 일하다 지난 3월 인텔코리아 사장으로 옮겼다. 인텔 본사 영업마케팅담당 부사장도 맡고 있다. 인텔코리아 최초의 여성 사장이자, 한국법인 출신으로 본사 부사장이 된 첫 사례이기도 하다.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2020년엔 500억개가량의 기기가 서로 연결된다. 각각의 기기에서 생성한 사진, 문서 등 막대한 정보는 기업의 서버에 저장된다. 기기에서 아무리 좋은 데이터를 보내도 서버에서 빠르고 안전하게 저장하지 못하면 소용이 없다.
권 사장은 지금까지는 PC 등 기기에 프로세서를 공급하는 게 주요 사업 모델이었다면 앞으로는 통신기기, 서버 쪽을 집중 공략하겠다고 설명했다. ‘개별 기기-통신-저장’에 이르는 IoT 생태계 전반에 반도체를 공급하겠다는 얘기다.
그는 “인텔코리아가 통신기기, 서버 회사를 대상으로 영업하는 조직을 별도로 신설했다”며 “이 분야에서 매년 10% 이상의 성장을 일궈낼 것”이라고 말했다.
인텔은 최근 인수합병(M&A)에 힘을 쏟고 있다. 6월엔 프로그래머블반도체(FPGA·사용 중간에 설계를 변경할 수 있는 반도체)업체 알테라를 인수하는 데 167억달러(약 18조5000억원)를 쏟아붓기도 했다. 권 사장은 “시장의 필요에 부합하는 반도체를 만들기 위해 과감히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윤선 기자 inkling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