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만 "TPP 불참 비난하는 건 옳지 않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사진)은 정부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 참여할 기회를 놓쳤다는 논란과 관련해 “좀 냉정해지면 좋겠다”고 밝혔다.
박 회장은 7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페이스북에 “들어갈 수 있는 협정을 잘못 판단해서 안 들어간 것처럼 비난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TPP 타결 소식에 사방에서 이번에 창설 멤버국에 들어가지 않은 것을 두고 마치 세계 무역의 40%에 가까운 시장을 놓친 것처럼 비난한다”며 “이번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해서 거대 시장을 놓쳐버린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부터 각 나라가 자국의 비준을 받고 효력이 발생하려면 1~2년은 걸리므로 그동안에 협상에 참여하면 될 일”이라고 했다.
박 회장은 또 “(창설 멤버가 아니면) 조건이 나빠진다고 하지만 처음에 들어갔어도 그리 환영받지는 못했을 것”이라고 했다. 그 이유로 미국과 일본이 TPP 가입을 대가로 한국에 요구하는 것을 받아주기가 힘들다는 점을 들었다.
박 회장은 한국이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에 우선 순위를 두고 통상 전략을 추진한 것은 올바른 선택이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한·중 FTA를 미루고 TPP부터 추진했다면 아마 지금쯤 몇 배 더 혼났을 것”이라고 했다.
박 회장은 “미국과 일본의 추가 요구를 받아들이면서 TPP 협상을 하는 것보다 한·중 FTA는 당연히 우선 순위에 있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욱진 기자 venture@hankyung.com
박 회장은 7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페이스북에 “들어갈 수 있는 협정을 잘못 판단해서 안 들어간 것처럼 비난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TPP 타결 소식에 사방에서 이번에 창설 멤버국에 들어가지 않은 것을 두고 마치 세계 무역의 40%에 가까운 시장을 놓친 것처럼 비난한다”며 “이번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해서 거대 시장을 놓쳐버린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부터 각 나라가 자국의 비준을 받고 효력이 발생하려면 1~2년은 걸리므로 그동안에 협상에 참여하면 될 일”이라고 했다.
박 회장은 또 “(창설 멤버가 아니면) 조건이 나빠진다고 하지만 처음에 들어갔어도 그리 환영받지는 못했을 것”이라고 했다. 그 이유로 미국과 일본이 TPP 가입을 대가로 한국에 요구하는 것을 받아주기가 힘들다는 점을 들었다.
박 회장은 한국이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에 우선 순위를 두고 통상 전략을 추진한 것은 올바른 선택이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한·중 FTA를 미루고 TPP부터 추진했다면 아마 지금쯤 몇 배 더 혼났을 것”이라고 했다.
박 회장은 “미국과 일본의 추가 요구를 받아들이면서 TPP 협상을 하는 것보다 한·중 FTA는 당연히 우선 순위에 있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욱진 기자 ventu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