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웅섭 금융감독원장
진웅섭 금융감독원장
진웅섭 금융감독원 원장(사진)은 7일 대우조선해양의 분식회계, 이마트의 차명주식 의혹 등에 대해 철저히 살펴본 후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또 앞으로 금융기관 직원들의 횡령금 규모와 회수율을 파악하는 시스템을 만들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 의원들 "대우조선해양 회계 부실 질타…정밀감리 돌입해야"

이날 정무위원회 소속 국회의원들은 대우조선해양의 회계 부실과 관련해 금감원의 잘못을 질타하며, 분식회계책임 정밀 감리를 요구했다.

강기정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대우조선해양이 지난 2011년부터 상선부문에서 손실을 내고 있었다"며 "대규모 손실의 원인이 항상 해양플랜트 수주 때문이라고만 변명했다"고 지적했다.

산업은행이 강 의원에게 제출한 2011년 컨설팅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9월 기준 대우조선해양은 1조6000억여원의 장기매출채권이 있었다.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미회수 잔액은 1조604억원을 기록했다.

김기식 새민주정치연합 의원도 대우조선해양과 관련해 금감원의 대응을 강하게 비판했다.

김 의원은 "대우조선해양은 해양플랜트 사업에서 손실이 난 것을 미청구공사잔액으로 처리했다"며 "실제 회수 청구가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알면서 미청구공사잔액으로 처리했다면 이는 분식회계"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나 산업은행은 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고 삼정회계법인에만 맡기고 있다"며 "삼정회계법인이 회계기준을 잘 지켜서 실사했는지를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진웅섭 금감원장은 "대우조선해양의 소명을 받아본 후 회계 기준 등을 살펴 감리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답했다.


삼성생명, 통합 삼성물산 탄생 과정서 한화증권 압력 여부 '도마'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과정에서, 삼성생명이 한화투자증권에 실제로 압력을 넣었는지 여부도 도마 위에 올랐다.

김 의원은 "주진형 한화투자증권 대표가 지난달 국감에서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을 반대한 것과 관련해 압력을 받았다고 이야기했다"며 "삼성생명이 한화투자증권에 맡겼던 자금을 인출한 것이 사실이라면 자본시장법상 선관주의 의무 위반 혐의로 법적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진 원장은 "회사로부터 소명을 받는 등 사실관계를 확인 중"이라며 "조사 결과 위법 행위가 있었다면 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답했다.

또 진 원장은 이마트의 차명주식 의혹과 관련해 "필요한 경우 직접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그의 발언은 김 의원이 "이마트의 차명주식 의혹과 관련해 공시위반 조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한 데 따른 것이다.

김 의원은 "이마트에서 전·현직 임원명의로 차명주식을 보유했다면 사업보고서 허위·부실 기재, 대량보유신고의무(5%룰) 위반, 임원·주요주주 특정증권 소유 상황 보고의무 위반 등 각종 공시의무 위반 소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금감원은 조사 착수는커녕 차명주식의 규모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며 "금융거래와 관련된 금융정보분석원(FIU) 정보는 국세청으로 제공하면서 반대로 국세청 정보는 전혀 받지 못하고 있다는 건 문제"라고 덧붙였다.

금감원은 앞으로 금융기관 직원들의 횡령금 규모와 회수율을 파악하는 시스템을 만들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이날 김태환 새누리당 의원은 금감원이 금융기관 직원들의 횡령금 규모, 회수율 등에 대해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은행 증권 보험 등 금융기관 직원의 횡령 건수는 351건, 금액은 1554억원을 기록했다"며 "반면 회수율은 점점 낮아지고 있어 금감원의 책임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에 진 원장은 "국정감사 이후 주기적으로 금융기관 직원의 횡령금 규모와 회수율을 파악하는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은행권과 협의 중"이라고 대답했다.

조영제 전 금융감독원 부원장이 금융연수원장으로 내정된 것과 관련해 낙하산 인사가 단행됐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김기준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마치 군사작전을 짜듯 일사천리로 조 전 부원장의 취업심사가 진행됐다"며 "금감원과 금융위의 국감이 진행됐던 지난달 14~15일 조 전 부원장의 취업심사가 진행됐지만 당국 수장들은 관련없는 일이라고 선을 그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진 원장은 "공직자윤리위원회 심사는 윤리법 위반 여부만을 평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무적으로 진행되는 형식에 불과하다"며 낙하산 인사 의혹에 대해 부인했다.

김근희 한경닷컴 기자 tkfcka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