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새 삶을 꿈꾸는 이들에게 선배 이주민들이 들려주는 공통된 조언 중 하나가 바로 ‘준비’다. 특히 귀농(어)·귀촌을 계획 중이라면 철저한 준비만이 성공적인 이주를 가능하게 한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관련 민간단체 등이 마련한 이주 프로그램들이 다양해지면서 과거와 같은 ‘묻지 마’ 귀농·귀촌도 눈에 띄게 줄고 있다. 실제로 한경비즈니스가 지난해 11월 조사한 ‘넥스트잡’ 설문 조사에 따르면 귀촌 후 농업에 종사할 계획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들의 75% 이상이 인터넷 커뮤니티, 전문 기관, 서적 등을 통해 미리 공부하고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의 귀농·귀촌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한 가구 수는 1만1144가구에 이른다. 가구원 수는 1만8864명이다. 귀농 가구 수는 2012년 1만1120가구, 2013년 1만923가구 등 최근 들어 매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귀촌 가구 수의 증가도 주목할 만하다. 2012년 1만5788가구였던 전체 귀촌 가구 수는 2013년 2만1501가구로 늘며 전년 대비 36.2% 증가했다. 지난해 귀촌 가구 수는 3만3442가구로 2013년 대비 55.5%나 늘었다.

직장인의 이직이나 전업의 성공 필수 조건이 철저한 사전 준비라는 것은 누구나 아는 상식이다. 귀농·귀촌으로 대표되는 국내 이주도 마찬가지다. 수입원·지역색·토착민과의 유대 등 미리 익히고 준비해야 할 것들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특히 최근에는 농업 관련 경험이 전무한 도시민들이 귀농·귀촌에 나서는 사례가 크게 늘면서 이들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체험 프로그램들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귀농을 꿈꾸지만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감이 오지 않는 초보자들이 가장 먼저 들러야 할 곳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운영하는 ‘귀농귀촌종합센터(www.returnfarm.com)’다. 농림부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 운영을 맡고 있는 귀농·귀촌 종합 포털이다. 이곳에선 귀농·귀촌 준비와 절차, 지역별 상담처 안내, 우수 사례, 지원 정책, 작목 정보, 각종 교육 정보, 멘토링 서비스, 빈집 정보 등이 한눈에 파악하기 쉽게 정리돼 있다.

귀농 창업 및 주택 구입을 위한 금융 지원도 이뤄지고 있다. 정부는 2010년부터 가구주가 가족과 함께 농촌으로 이주해 실제 거주하면서 농업에 종사하거나 계획 중인 사람, 농어촌 지역으로 이주할 예정이거나 2년 이내 퇴직 증빙을 할 수 있는 퇴직 예정자 등을 대상으로 농업 창업금으로 가구당 3억 원까지, 주택 구입비로 가구당 5000만 원까지 대출해 주고 있다. 대출 기간은 5년 거치 10년 분할 상환이며 농업 창업은 2%, 주택 구입은 2.7% (65세 이상은 2%)의 저리로 지원한다.

귀어 정착금 신청자 200명 넘어설 듯

민간 기관 공모 교육, 현장 실습 교육, 영농 정착 기술 교육, 선도 농가 현장 실습 교육, 귀농·귀촌 교육관 운영 등 각종 교육 프로그램도 마련돼 있다. 현장 방문이 여의치 않으면 농업인력포털(www.agriedu.net)을 통한 온라인 교육도 받을 수 있다.

농촌뿐만 아니라 어촌 지역으로 이주하는 귀어·귀촌 사례도 해마다 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귀어귀촌종합센터(www.sealife.go.kr)를 열고 귀어를 희망하는 이들에게 실무 상담과 어촌 정착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2011년 40명에 불과하던 귀어 정착금 신청자는 2014년 들어 130명을 넘었다. 올 상반기 신청자는 이미 160명을 넘었는데, 이런 추세라면 올해 귀어 정착금 신청자가 200명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본 기사는 한국경제매거진 한경 BUSINESS 1034호 제공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