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대표기업] 효성, 스판덱스·타이어코드 세계 1위…친환경 에너지 등 신성장 동력 육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소재 '폴리케톤' 첫 개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개척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개척
효성(대표 이상운 부회장)은 전체 매출의 80% 이상이 해외에서 나오는 글로벌 기업이다. 세계인 10명 중 4명 이상이 효성이 제조한 타이어코드를 사용하고 10명 중 3명의 옷에는 효성이 생산한 스판덱스가 들어있다. 효성은 스판덱스와 타이어코드 등 점유율 세계 1위 제품을 중심으로 해외 시장을 개척하며 ‘해가 지지 않는 기업’으로 성장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현재 세계 70여곳의 제조 및 판매법인에서 2만명이 넘는 임직원이 일하고 있다.
섬유의 반도체로 불리는 효성의 고부가가치 스판덱스 원사 브랜드인 ‘크레오라’는 1992년 국내 개발에 성공한 뒤 중국과 베트남, 터키, 브라질 등 해외 생산시설에서 제조하고 있다. 스판덱스는 속옷 등 의류에 들어가는 신축성 원사로, 고무보다 3배 이상 늘어나고 복원된다. 후발 주자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점유율 1위다. 2013년부터는 6000만달러(약 690억원)를 투자해 베트남 스판덱스 공장 생산량을 1만t 늘리는 증설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증설 작업이 끝나면 베트남 공장에서만 연간 5만t 규모의 크레오라를 생산하게 된다. 총 생산량이 연간 17만t으로 늘어나고 시장 점유율도 32%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자동차 타이어의 보강재로 쓰이는 타이어코드는 시장 점유율 45%로 효성의 안정적인 매출 및 수출 호조에 기여하는 ‘효자’ 제품이다. 효성은 한국과 중국, 베트남, 미주, 유럽 등 글로벌 생산기지의 안정적 공급망을 바탕으로 미쉐린, 굿이어 같은 글로벌 타이어 회사와의 파트너십 강화는 물론 신규 고객 확보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또 효성은 안전벨트용 원사와 에어백용 원단 등 산업용 원사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소재 부문의 일괄 생산시스템을 구축, 글로벌 시장에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사업 구조를 갖추고 있다. 특히 2011년 인수한 세계 1위 에어백용 직물업체 글로벌세이프티텍스타일스(GST)를 통해 에어백용 직물까지 사업을 확장했다.
효성은 국내 최고의 중전기기 제조 및 생산 기술력을 바탕으로 중국, 미국, 남미 등을 중심으로 해외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알제리에 약 1000억원 규모의 설계·구매·시공(EPC) 변전소 운영 및 건립 계약을 수주하는 등 북아프리카와 중동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신시장 개척에 힘쓰고 있다. 이와 함께 에너지저장시스템(ESS), 풍력발전 등 새로운 에너지 분야의 기술력을 확보, 신성장 사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2013년에는 세계 최초로 고분자 신소재인 ‘폴리케톤’을 개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새로운 시장을 열었다. 효성은 지난 5월 중국 광저우에서 열린 ‘차이나플라스 2015 전시회’ 참가해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지역과 미주 유럽 등의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효성은 더불어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와 함께 국내 탄소밸리 조성 및 탄소 산업 저변 확대를 위해 효성 전주공장 내 부지에 ‘탄소특화창업보육센터’를 제공, 20여개 국내 탄소 강소기업을 육성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김순신 기자 soonsin2@hankyung.com
섬유의 반도체로 불리는 효성의 고부가가치 스판덱스 원사 브랜드인 ‘크레오라’는 1992년 국내 개발에 성공한 뒤 중국과 베트남, 터키, 브라질 등 해외 생산시설에서 제조하고 있다. 스판덱스는 속옷 등 의류에 들어가는 신축성 원사로, 고무보다 3배 이상 늘어나고 복원된다. 후발 주자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점유율 1위다. 2013년부터는 6000만달러(약 690억원)를 투자해 베트남 스판덱스 공장 생산량을 1만t 늘리는 증설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증설 작업이 끝나면 베트남 공장에서만 연간 5만t 규모의 크레오라를 생산하게 된다. 총 생산량이 연간 17만t으로 늘어나고 시장 점유율도 32%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자동차 타이어의 보강재로 쓰이는 타이어코드는 시장 점유율 45%로 효성의 안정적인 매출 및 수출 호조에 기여하는 ‘효자’ 제품이다. 효성은 한국과 중국, 베트남, 미주, 유럽 등 글로벌 생산기지의 안정적 공급망을 바탕으로 미쉐린, 굿이어 같은 글로벌 타이어 회사와의 파트너십 강화는 물론 신규 고객 확보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또 효성은 안전벨트용 원사와 에어백용 원단 등 산업용 원사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차 소재 부문의 일괄 생산시스템을 구축, 글로벌 시장에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사업 구조를 갖추고 있다. 특히 2011년 인수한 세계 1위 에어백용 직물업체 글로벌세이프티텍스타일스(GST)를 통해 에어백용 직물까지 사업을 확장했다.
효성은 국내 최고의 중전기기 제조 및 생산 기술력을 바탕으로 중국, 미국, 남미 등을 중심으로 해외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알제리에 약 1000억원 규모의 설계·구매·시공(EPC) 변전소 운영 및 건립 계약을 수주하는 등 북아프리카와 중동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신시장 개척에 힘쓰고 있다. 이와 함께 에너지저장시스템(ESS), 풍력발전 등 새로운 에너지 분야의 기술력을 확보, 신성장 사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2013년에는 세계 최초로 고분자 신소재인 ‘폴리케톤’을 개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새로운 시장을 열었다. 효성은 지난 5월 중국 광저우에서 열린 ‘차이나플라스 2015 전시회’ 참가해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지역과 미주 유럽 등의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효성은 더불어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와 함께 국내 탄소밸리 조성 및 탄소 산업 저변 확대를 위해 효성 전주공장 내 부지에 ‘탄소특화창업보육센터’를 제공, 20여개 국내 탄소 강소기업을 육성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김순신 기자 soonsin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