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에 꿈 주는 아쿠아리움…해양생물 보전 '파수꾼' 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정락 롯데월드 아쿠아리움 관장
“기존의 상업성 짙은 아쿠아리움에서 벗어나 ‘해양생물 보전’이라는 아쿠아리움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이 추구하는 가치입니다.”
고정락 롯데월드 아쿠아리움 관장(사진)은 아쿠아리움 개관 1주년을 맞아 “해양생물은 미래에 물려줄 중요한 유산이기에 외부기관과의 공동연구 결과를 국내외 아쿠아리움과 공유할 예정”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고 관장은 “지난 1년간 박테리아를 비롯한 미생물의 번식이나 수질 등 수조의 생태계가 안정화돼 크기가 80㎝밖에 되지 않았던 부채가오리는 1.5m가 됐고, 손가락보다 작았던 메기를 닮은 쏠종개는 25㎝에 이를 정도로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고 관장이 특별히 관심을 두는 생물은 해룡이다. 아침에 출근해서 제일 먼저 찾아가 볼 정도다.
“위디해룡은 국내에서는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에서만 전시하고 있습니다. 해룡은 굉장히 민감한 생물이라 해룡이 건강하면 수조 상태가 좋다는 증거입니다. 다른 생물들이 건강하게 살 수 있는 수조 환경의 척도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제가 신경을 쓰는 거죠.”
고 관장은 “아쿠아리움에 있는 650여종 5만5000여마리의 건강상태를 날마다 점검하고 있다”며 “아쿠아리움이 어린이에게는 꿈과 희망을, 어른들에게는 동심을 자극하는 곳이기 때문에 생물 관리에 더욱 신경을 써 국내 최고의 아쿠아리움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최병일 여행·레저전문기자 skycbi@hankyung.com
고정락 롯데월드 아쿠아리움 관장(사진)은 아쿠아리움 개관 1주년을 맞아 “해양생물은 미래에 물려줄 중요한 유산이기에 외부기관과의 공동연구 결과를 국내외 아쿠아리움과 공유할 예정”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고 관장은 “지난 1년간 박테리아를 비롯한 미생물의 번식이나 수질 등 수조의 생태계가 안정화돼 크기가 80㎝밖에 되지 않았던 부채가오리는 1.5m가 됐고, 손가락보다 작았던 메기를 닮은 쏠종개는 25㎝에 이를 정도로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고 관장이 특별히 관심을 두는 생물은 해룡이다. 아침에 출근해서 제일 먼저 찾아가 볼 정도다.
“위디해룡은 국내에서는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에서만 전시하고 있습니다. 해룡은 굉장히 민감한 생물이라 해룡이 건강하면 수조 상태가 좋다는 증거입니다. 다른 생물들이 건강하게 살 수 있는 수조 환경의 척도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제가 신경을 쓰는 거죠.”
고 관장은 “아쿠아리움에 있는 650여종 5만5000여마리의 건강상태를 날마다 점검하고 있다”며 “아쿠아리움이 어린이에게는 꿈과 희망을, 어른들에게는 동심을 자극하는 곳이기 때문에 생물 관리에 더욱 신경을 써 국내 최고의 아쿠아리움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최병일 여행·레저전문기자 skycb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