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형준 한국경영자총협회 본부장(오른쪽) 등 업계 관계자들이 15일 서울 회기동 KAIST 경영대학에서 열린 한국조선산업토론회에서 조선산업의 구조조정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신경훈 기자nicerpeter@hankyung.com
이형준 한국경영자총협회 본부장(오른쪽) 등 업계 관계자들이 15일 서울 회기동 KAIST 경영대학에서 열린 한국조선산업토론회에서 조선산업의 구조조정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신경훈 기자nicerpeter@hankyung.com
한국 조선해양산업이 위기에서 벗어나려면 정부가 주도적으로 구조조정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KAIST 경영대학 글로벌SCM 연구센터가 15일 한국경제신문 후원으로 개최한 ‘한국조선해양산업 토론회’에서 김보원 KAIST 경영대학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한국 조선해양산업이 위기에 빠진 것은 조선사 간 소모적 과당경쟁을 방지하지 못한 데다 산업차원의 장기적 기술개발 전략이 없었기 때문”이라며 “조선해양산업의 합리화를 위한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글로벌 경제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고, 장기적 기술개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며 “과당경쟁을 막기 위해 조선해양산업 차원의 구조조정을 진행할 필요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 조선사들이 2000년 이후 해양플랜트 사업을 수주하기 시작했지만, 내부 구조는 여전히 상선 중심으로 남아있다보니 비용이 많이 들어가게 됐다”며 “지금이라도 내부 조직을 슬림화하고 유연하게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용환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는 한국 조선해양산업이 위기에서 벗어나려면 고부가가치화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 조선해양산업의 미래는 결국 기술이 좌우하게 될 것”이라며 “원천기술을 꾸준히 개발하고 전문기술 인력을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홍성인 산업연구원 기계전자산업팀장은 “중국의 약진과 생산인력 고령화, 친환경 규제 강화 등이 조선해양산업이 당면한 이슈”라며 “이들 이슈에 대한 대응전략을 마련하는 게 시급하다”고 말했다.

단희수 산업통상자원부 조선해양플랜트과장은 “정부는 시장 지배력 강화, 시황대응능력 향상, 생태계 자생력 구축 등을 목표로 조선해양산업 개편을 진행할 것”이라며 “회사별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조선사들을 대형화·그룹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