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라시아 시대, 부산 비전 심포지엄] "동남-TK-호남, 경제공동체로 통합…초광역권 거대도시 만들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산시·부산발전연구원·한국경제신문사 공동개최
도시 간 격차 해마다 커져
수도·충청권에 대응 필요성↑…자원 집적화해 경쟁력 키워야
부산의 물류, 김해의 문화, 광양·여수의 항만·유화 등
도시별 핵심역량 연계 '시너지'
도시 간 격차 해마다 커져
수도·충청권에 대응 필요성↑…자원 집적화해 경쟁력 키워야
부산의 물류, 김해의 문화, 광양·여수의 항만·유화 등
도시별 핵심역량 연계 '시너지'
“한국은 수도권에 집중한 나머지 부산이 변방도시가 되고 말았습니다. 부산 중심의 해안도시군이 연계되는 초거대도시(메갈로폴리스)가 형성되면 동남권은 물론 대경권(대구·경북), 호남권 경제까지 폭발적인 시너지 효과를 낼 것입니다.”
‘유라시아 시대, 2030 그레이터 부산(Greater Busan)을 위한 비전과 전략’을 주제로 19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심포지엄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이 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부산시와 부산발전연구원, 한국경제신문사가 공동 주최한 이날 심포지엄에는 서병수 부산시장과 김기웅 한국경제신문 사장, 조성제 부산상공회의소 회장, 성세환 BNK금융그룹 회장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해안도시권 중심의 초거대도시 구축
최윤기 산업연구원 부원장은 ‘동남 광역권의 새로운 미래발전 전략’이란 주제발표에서 “동남경제권은 최근 글로벌 거점도시 평가에서 세계 80위권 수준에 불과했다”며 “세계 도시 간 경쟁은 물론 수도권 충청권에 대응할 수 있도록 대경권과 호남권(광주·전남·전북)까지 포괄하는 남부경제권 초거대도시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부원장은 “경제공간적인 측면에서 지역 간 불균형 발전이 지속되고 거대도시 중심으로 경제공간이 재편되고 있을 뿐 아니라 자유무역협정(FTA),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등 글로벌 경제의 블록화가 확대돼 공간적 범위 확대와 협력이 더욱 절실해졌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그는 “남부경제권의 활력 증진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비롯해 남부경제권 지역 간 특성화 발전 및 역할분담을 위한 전략적 협력관계 구축, 유라시아 경협 거점을 위한 산업단지 공항 항만 등 사회간접자본(SOC)의 전략적 확충이 시급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강성철 부산발전연구원장은 ‘부산의 미래:2030 비전과 전략’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부산도 인구와 총생산 규모 면에서 수도권 못지않은 새로운 발전 축을 해안도시 중심으로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남부권 초거대도시 조성은 부산의 물류·관광 분야와 김해의 문화 예술, 울산의 자동차·조선·에너지, 창원의 기계·자동차부품, 거제의 조선·해양플랜트, 사천의 항공, 광양·여수의 항만·석유화학 등 서로 경쟁력 있는 부문이 연계하면서 폭발적인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양적 팽창과 도시 간 협력 강화
이용우 국토연구원 지역연구본부장은 ‘메가트렌드와 국토 및 동남권 미래전망’이라는 주제발표에서 “세계는 디지털화와 초고속화, 초고령화로 도시 간 격차가 갈수록 확산되고 있다”며 “집적화된 도시군이나 지역그룹을 이뤄 각 도시가 지닌 강점과 기회요인을 협력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부산을 중심으로 동남권 내부 도시의 핵심역량을 끌어올리는 작업이 우선 필요하고, 그다음에는 대경권, 호남권으로의 양적 팽창과 지역 간, 도시 간 상생 네트워크를 강화하며 초거대도시 구축에 대한 공감대도 형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준승 부산시 시정혁신본부장은 “동남권 내부의 결속도 확고히 다져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 본부장은 “현재 부산 울산이 원전해체센터를 경계지역에 공동 유치하기로 합의한 것처럼 부산·울산·경남 경제협력의 산업분야를 의료 스마트기계 항공 등 미래산업 분야로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진수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부원장은 “인구 10만명도 안 되는 도시에서 10만명을 수용할 종합경기장을 짓고 있는 게 우리의 현실”이라며 “초광역 경제공동체 형성은 초연계화 시대의 새로운 메가트렌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부산=김태현/하인식/오경묵/김해연 기자 okmook@hankyung.com
‘유라시아 시대, 2030 그레이터 부산(Greater Busan)을 위한 비전과 전략’을 주제로 19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심포지엄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이 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부산시와 부산발전연구원, 한국경제신문사가 공동 주최한 이날 심포지엄에는 서병수 부산시장과 김기웅 한국경제신문 사장, 조성제 부산상공회의소 회장, 성세환 BNK금융그룹 회장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해안도시권 중심의 초거대도시 구축
최윤기 산업연구원 부원장은 ‘동남 광역권의 새로운 미래발전 전략’이란 주제발표에서 “동남경제권은 최근 글로벌 거점도시 평가에서 세계 80위권 수준에 불과했다”며 “세계 도시 간 경쟁은 물론 수도권 충청권에 대응할 수 있도록 대경권과 호남권(광주·전남·전북)까지 포괄하는 남부경제권 초거대도시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부원장은 “경제공간적인 측면에서 지역 간 불균형 발전이 지속되고 거대도시 중심으로 경제공간이 재편되고 있을 뿐 아니라 자유무역협정(FTA),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등 글로벌 경제의 블록화가 확대돼 공간적 범위 확대와 협력이 더욱 절실해졌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그는 “남부경제권의 활력 증진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비롯해 남부경제권 지역 간 특성화 발전 및 역할분담을 위한 전략적 협력관계 구축, 유라시아 경협 거점을 위한 산업단지 공항 항만 등 사회간접자본(SOC)의 전략적 확충이 시급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강성철 부산발전연구원장은 ‘부산의 미래:2030 비전과 전략’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부산도 인구와 총생산 규모 면에서 수도권 못지않은 새로운 발전 축을 해안도시 중심으로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남부권 초거대도시 조성은 부산의 물류·관광 분야와 김해의 문화 예술, 울산의 자동차·조선·에너지, 창원의 기계·자동차부품, 거제의 조선·해양플랜트, 사천의 항공, 광양·여수의 항만·석유화학 등 서로 경쟁력 있는 부문이 연계하면서 폭발적인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양적 팽창과 도시 간 협력 강화
이용우 국토연구원 지역연구본부장은 ‘메가트렌드와 국토 및 동남권 미래전망’이라는 주제발표에서 “세계는 디지털화와 초고속화, 초고령화로 도시 간 격차가 갈수록 확산되고 있다”며 “집적화된 도시군이나 지역그룹을 이뤄 각 도시가 지닌 강점과 기회요인을 협력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부산을 중심으로 동남권 내부 도시의 핵심역량을 끌어올리는 작업이 우선 필요하고, 그다음에는 대경권, 호남권으로의 양적 팽창과 지역 간, 도시 간 상생 네트워크를 강화하며 초거대도시 구축에 대한 공감대도 형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준승 부산시 시정혁신본부장은 “동남권 내부의 결속도 확고히 다져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 본부장은 “현재 부산 울산이 원전해체센터를 경계지역에 공동 유치하기로 합의한 것처럼 부산·울산·경남 경제협력의 산업분야를 의료 스마트기계 항공 등 미래산업 분야로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진수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부원장은 “인구 10만명도 안 되는 도시에서 10만명을 수용할 종합경기장을 짓고 있는 게 우리의 현실”이라며 “초광역 경제공동체 형성은 초연계화 시대의 새로운 메가트렌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부산=김태현/하인식/오경묵/김해연 기자 okm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