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식탁 물가' 지도] 전월세 포함 생활물가는 울산·서울·부산 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광역시·도 14년간 분석
대도시일수록 급등 …제주·경북·강원 순 낮아
대도시일수록 급등 …제주·경북·강원 순 낮아
한국소비자원의 ‘장바구니 물가’ 통계는 신선·가공식품과 음료 등을 대상으로 작성됐다. 여기에 의류, 교통비, 통신비, 전·월세값 등을 포함한 ‘생활물가’는 어떨까. 통계청의 생활물가지수는 특정 시점의 지역별 가격은 알 수 없지만 물가상승률은 비교할 수 있다.
한국경제신문이 최근 14년(2000~2014년)간 16개 광역자치단체의 생활물가지수(전·월세 포함) 상승률을 조사한 결과 울산(56.8%) 서울(55.9%) 부산(54.3%) 순으로 물가가 급등했다. 반면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곳은 제주(48.1%) 경북(48.4%) 강원(49.5%) 등이었다. 제주와 강원은 소비자원이 조사한 장바구니 물가가 상당히 높았던 지역이다. 식품비용은 높지만 다른 생활물가가 덜 올라 전체적인 물가 부담은 적었다는 의미다.
생활물가가 급등한 곳은 대부분 대도시로 전·월세 가격이 문제였다. KB부동산알리지에 따르면 2010년 이후 지난달 말까지 울산(38.8%) 서울(42.0%) 부산(41.1%)의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제주(29.8%) 경북(38.7%) 전남(23.2%) 등을 압도했다.
소비자물가 통계는 정책의 기초인 만큼 역사가 길고 내용이 방대하다. 1936년 경성상공회의소에서 최초로 작성했다. 전국 주요 도시를 포함하는 오늘날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965년 경제기획원이 공표하기 시작했다. 현재는 통계청이 481개 품목을 기반으로 매달 물가상승률을 집계한다.
소비자원의 이번 조사는 특정 시점의 지역별 물가를 절대 비교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소비자원의 가격정보 사이트인 ‘참가격(price.go.kr)’에 올라오는 실시간 가격정보가 기반이 됐다. 소비자원은 전국 대형마트와 백화점, 전통시장, 편의점 등 269개 판매점에서 팔리는 120개 품목의 가격을 매주 공개하고 있다. 전국의 방대한 실시간 가격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빅데이터’의 현주소다. 지방자치단체가 조사한 지역 공공요금과 서비스요금도 비교할 수 있다.
마미영 소비자원 소비자정보팀 차장은 “소비자들이 품목별 유통업체별 가격을 비교할 수 있어 합리적 소비에 도움이 된다”며 “정보 공개는 업체의 자율적인 가격 경쟁을 촉진하는 효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 역시 과거처럼 업계를 직접 압박하는 방식 대신 업계 자율을 통한 물가안정 대책에 관심을 기울이는 분위기다.
황정수/김유미 기자 hjs@hankyung.com
한국경제신문이 최근 14년(2000~2014년)간 16개 광역자치단체의 생활물가지수(전·월세 포함) 상승률을 조사한 결과 울산(56.8%) 서울(55.9%) 부산(54.3%) 순으로 물가가 급등했다. 반면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곳은 제주(48.1%) 경북(48.4%) 강원(49.5%) 등이었다. 제주와 강원은 소비자원이 조사한 장바구니 물가가 상당히 높았던 지역이다. 식품비용은 높지만 다른 생활물가가 덜 올라 전체적인 물가 부담은 적었다는 의미다.
생활물가가 급등한 곳은 대부분 대도시로 전·월세 가격이 문제였다. KB부동산알리지에 따르면 2010년 이후 지난달 말까지 울산(38.8%) 서울(42.0%) 부산(41.1%)의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제주(29.8%) 경북(38.7%) 전남(23.2%) 등을 압도했다.
소비자물가 통계는 정책의 기초인 만큼 역사가 길고 내용이 방대하다. 1936년 경성상공회의소에서 최초로 작성했다. 전국 주요 도시를 포함하는 오늘날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965년 경제기획원이 공표하기 시작했다. 현재는 통계청이 481개 품목을 기반으로 매달 물가상승률을 집계한다.
소비자원의 이번 조사는 특정 시점의 지역별 물가를 절대 비교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소비자원의 가격정보 사이트인 ‘참가격(price.go.kr)’에 올라오는 실시간 가격정보가 기반이 됐다. 소비자원은 전국 대형마트와 백화점, 전통시장, 편의점 등 269개 판매점에서 팔리는 120개 품목의 가격을 매주 공개하고 있다. 전국의 방대한 실시간 가격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빅데이터’의 현주소다. 지방자치단체가 조사한 지역 공공요금과 서비스요금도 비교할 수 있다.
마미영 소비자원 소비자정보팀 차장은 “소비자들이 품목별 유통업체별 가격을 비교할 수 있어 합리적 소비에 도움이 된다”며 “정보 공개는 업체의 자율적인 가격 경쟁을 촉진하는 효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 역시 과거처럼 업계를 직접 압박하는 방식 대신 업계 자율을 통한 물가안정 대책에 관심을 기울이는 분위기다.
황정수/김유미 기자 hj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