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현지시간) 치러진 폴란드 총선의 출구조사 결과 난민 수용을 반대하는 보수 성향 법과정의당(PiS)이 현 집권당인 중도 성향의 시민강령(PO)을 누르고 승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AP와 AFP 통신 등이 보도했다.

법과정의당은 39%를 득표해 23%의 득표율을 보인 시민강령을 앞설 것으로 여론조사 기관들은 전망했다.

이에 따라 의석 460석 중 법과정의당이 242석, 시민강령이 133석을 차지하게 되면서 법과정의당은 1989년 폴란드 민주화 이후 처음으로 단독으로 정부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 같은 출구조사 결과가 발표되자 야로슬라프 카친스키(66) 법과정의당 당수는 승리를 선언했고, 시민강령을 이끄는 에바 코파즈 총리는 패배를 인정했다.

카친스키 당수는 이번 승리를 레흐 카친스키 전 대통령의 공으로 돌렸다.

카친스키의 쌍둥이 동생인 카친스키 전 대통령은 2010년 러시아를 방문하던 중 전용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

카친스키 당수는 자신이 총리에 출마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여성 의원인 베아타 시들로(52)를 총리 후보로 지명했다.

폴란드 총선에서도 난민 사태는 주요 이슈가 됐다.

현 정부는 난민 7천 명을 받아들이기로 했지만, 유럽연합(EU)에 회의적인 법과정의당은 이에 강력하게 반대해 왔다.

카친스키 당수는 총선을 앞두고 난민들이 유럽에 질병을 가져올 수 있다고 여러 차례 주장한 바 있다.

법과정의당은 지방에서 강력한 지지를 받고 있으며 영향력이 큰 로마 가톨릭 교회와 밀접한 관계다.

친 EU 성향의 시민강령 집권 하에 폴란드는 올해 3.5%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지난 8년 동안 경제 성장과 정치적 안정을 이뤘지만, 많은 폴란드인은 경제 성장에서 얻은 것이 없다고 느끼고 있으며 약 200만 명이 더 나은 일자리를 찾아 해외로 가면서 폴란드가 우파로 전향했다고 BBC 방송은 전했다.

앞서 폴란드에서는 지난 5월 법과정의당 소속 극우 성향인 안드레이 두다(43)가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법과정의당의 득세를 예고했다.

(서울연합뉴스) 한미희 기자 mih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