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27일 국회 시정연설에서 경제활성화법안과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 처리 등을 촉구했지만 야당 의원들은 역사교과서 국정화와 관련, 장외로 나가 촛불을 들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시정연설에 대해 “경제민주화를 제대로 실천하는 것이 급선무”라는 반응을 보여 경제활성화법 등 주요 법안의 정기국회 내 처리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는 박 대통령 시정연설 직후 기자들과 만나 “청년 일자리 문제가 정말 절박한데 그에 대해 (박 대통령은) 언급도 없었다”며 “정부의 경제정책 실패와 무능을 인정하고 사과하는 것에서부터 새롭게 출발해야 하는데 참으로 아쉽다”고 했다.

박 대통령이 11월 중순까지 처리해달라고 요청한 한·중 FTA 비준안도 여야 합의가 불투명하다. 이언주 새정치연합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에서 “(한·중 FTA가) 굉장히 부실하게 협의됐기 때문에 미세먼지, 불법어업, 수입식품 안전 등 우리 국민이 각별히 관심을 갖는 점에 대해 정부가 책임 있는 대책과 후속 추가협상 대안을 내놔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종걸 새정치연합 원내대표도 청와대 5자회동을 마친 다음날인 지난 23일 “(한·중 FTA와 관련해) 재협상·추가협상을 요청하거나 법 개정·예산 지원으로 피해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야당이 해야 할 일”이라며 조속한 비준안 통과는 어렵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새정치연합은 이날 역사교과서 국정화 문제와 관련해 시민단체와 손을 잡고 대규모 장외 투쟁을 선택했다. 새정치연합은 이날 광화문광장에서 문 대표와 이 원내대표 등 지도부와 의원들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국정교과서 반대 결의대회’를 열었다.

28일부터는 문 대표 등 지도부가 교과서 체험 ‘투어 버스’를 타고 지역순회 홍보에 나서고 야권 3자 공동 주최로 국정교과서 반대 토론회도 연다.

박 대통령이 이날 국회 시정연설을 통해 교과서 국정화 의지를 거듭 밝히면서 장외 여론전을 확대해 국정화 저지를 위한 동력을 최대한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