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체세포복제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한 차병원이 해당 줄기세포 성공률을 3배 이상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체세포복제줄기세포는 난자에 성인 체세포를 넣어 다양한 조직세포로 분화시킬 수 있는 줄기세포를 말한다. 병원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르면 올해 안에 난치성 망막질환을 치료하는 임상시험에 들어갈 계획이다.

차병원그룹 이동률·정영기 교수팀과 미국 하버드대 이장 교수팀이 난자에서 체세포복제줄기세포가 만들어지는 것을 방해하는 특정한 효소(히스톤메틸효소)를 찾고 이 효소 활동을 억제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30일 발표했다. 연구 결과는 줄기세포 분야 국제학술지(Cell Stem Cell)에 실렸다.

체세포복제줄기세포는 인체의 모든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줄기세포다. 의료계에서는 이를 활용해 치료제가 없는 난치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난자에 체세포를 넣더라도 줄기세포주가 되는 확률은 1~2%에 불과했다.

교수팀은 히스톤메틸효소 수치가 높은 경우 줄기세포가 잘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 이 효소 활동을 억제하는 특정 단백질을 줄기세포 전 단계인 체세포복제배아에 주입했다. 그 결과 총 56개의 체세포복제란에서 4개의 줄기세포를 만들었다. 성공률은 7.1%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