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10월 중국 판매 6개월만에 '성장 전환'…3개월 연속 증가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0월 판매 전년비 4.7%, 전월비 17.2% 각각 ↑
현대·기아자동차의 10월 중국 판매가 6개월 만에 전년 대비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난 7월 판매량이 바닥을 찍고 8월 반등 이후 3개월 연속 증가세를 지속했다.
현대·기아차는 지난달 중국 시장에서 작년 10월보다 4.7% 증가한 15만6575대를 팔았다고 3일 밝혔다. 지난 3월 이후 가장 많은 판매 기록이다.
지난달 현대·기아차의 중국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4.7%, 전월와 비교해선 17.2% 각각 증가했다. 전년 대비 판매량은 지난 4월 2.4% 늘어난 이후 6개월 만에 성장세로 전환됐다.
현대차는 전년 동월 대비 8.2% 늘어난 10만69대로 지난 3월 이후 7개월 만에 월 10만대를 돌파했다. 기아차(5만6506대)는 6개월 만에 5만대를 넘어섰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중국 판매가 성장세로 전환된 것은 주력 신차가 본격 판매되는 한편 중국 정부의 구매세 인하가 더해진 효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차종별로 보면 현대차가 랑동(2만4837대), 베르나(1만8050대), 밍투(1만3424대), ix35(1만1930대), 올뉴 투싼(1만104대) 등 5개 모델이 1만대 이상 팔렸다. 기아차는 K3(1만6842대), K2(1만4943대)가 1만대 이상 판매됐다.
현대·기아차의 올 1~10월 중국 누적 판매는 전년 대비 9.7% 감소한 128만3936대(현대차 82만4712대, 기아차 45만9224대)로 집계됐다.
다만 올 4분기 이후에 올해 출시한 신차(투싼, LF쏘나타, KX3, K5 등) 판매 확대와 내년 초 출시 예정인 아반떼와 스포티지 투입으로 판매량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최근 중국 정부가 배기량 1600cc 이하 차량의 구매세 인하 정책을 시행하고 있어 1.6L 엔진 라인업을 보유한 차종(쏘나타·투싼, K3·K4·K5 등)의 판매량은 늘어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쌍용차, 티볼리 웃었지만 수출 반토막…흑자전환 언제?] [스마트폰 '격전지'서 샌드위치 된 삼성·LG…"SW 경쟁력 높여야"] [스마트폰 하나로 예약 OK…퇴근길 카셰어링 직접 이용해보니] [SKT 빅딜에 이통사 '발끈'…"공정 경쟁 저해" 한목소리] [현대·기아차 신흥국서 브레이크 걸렸다…향후 대책은?]
김정훈 한경닷컴 기자 lennon@hankyung.com
현대·기아차는 지난달 중국 시장에서 작년 10월보다 4.7% 증가한 15만6575대를 팔았다고 3일 밝혔다. 지난 3월 이후 가장 많은 판매 기록이다.
지난달 현대·기아차의 중국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4.7%, 전월와 비교해선 17.2% 각각 증가했다. 전년 대비 판매량은 지난 4월 2.4% 늘어난 이후 6개월 만에 성장세로 전환됐다.
현대차는 전년 동월 대비 8.2% 늘어난 10만69대로 지난 3월 이후 7개월 만에 월 10만대를 돌파했다. 기아차(5만6506대)는 6개월 만에 5만대를 넘어섰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중국 판매가 성장세로 전환된 것은 주력 신차가 본격 판매되는 한편 중국 정부의 구매세 인하가 더해진 효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차종별로 보면 현대차가 랑동(2만4837대), 베르나(1만8050대), 밍투(1만3424대), ix35(1만1930대), 올뉴 투싼(1만104대) 등 5개 모델이 1만대 이상 팔렸다. 기아차는 K3(1만6842대), K2(1만4943대)가 1만대 이상 판매됐다.
현대·기아차의 올 1~10월 중국 누적 판매는 전년 대비 9.7% 감소한 128만3936대(현대차 82만4712대, 기아차 45만9224대)로 집계됐다.
다만 올 4분기 이후에 올해 출시한 신차(투싼, LF쏘나타, KX3, K5 등) 판매 확대와 내년 초 출시 예정인 아반떼와 스포티지 투입으로 판매량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최근 중국 정부가 배기량 1600cc 이하 차량의 구매세 인하 정책을 시행하고 있어 1.6L 엔진 라인업을 보유한 차종(쏘나타·투싼, K3·K4·K5 등)의 판매량은 늘어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쌍용차, 티볼리 웃었지만 수출 반토막…흑자전환 언제?] [스마트폰 '격전지'서 샌드위치 된 삼성·LG…"SW 경쟁력 높여야"] [스마트폰 하나로 예약 OK…퇴근길 카셰어링 직접 이용해보니] [SKT 빅딜에 이통사 '발끈'…"공정 경쟁 저해" 한목소리] [현대·기아차 신흥국서 브레이크 걸렸다…향후 대책은?]
김정훈 한경닷컴 기자 lenn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