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 배출가스 조작 확산…아우디·포르쉐 3L급 디젤도 적발
폭스바겐이 디젤 2L 이하 차량 이외에 3L급 대형 디젤차에도 배출가스 조작 장치를 부착한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는 관련된 문제 차종을 모두 검증하기로 했다. 정부 조사 결과 연비 조작이 사실로 밝혀지면 국내 리콜 대상 차량이 종전 12만5000여대에서 급격히 늘어날 전망이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지난 2일 홈페이지에 폭스바겐과 계열사인 아우디, 포르쉐 등이 2014~2016년형 3L급 차량에 배출가스 검사 결과 조작을 위한 소프트웨어(SW)를 장착했다고 공지했다. EPA는 실험실 배출가스 검사보다 실제 도로 주행에서 최대 아홉 배 많은 질소산화물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새로 적발된 차량은 2014년형 폭스바겐 투아렉, 2015년형 포르셰 카이엔, 2016년형 아우디 A6 콰트로(사진), A7 콰트로, A8, Q5 모델이다. 폭스바겐은 그동안 폭스바겐과 아우디의 2009~2015년형 2L 이하 모델만 배출가스 조작을 했다고 인정했다. 이에 대해 폭스바겐 측은 “EPA로부터 해당 차량들에 불명확한 SW가 장착됐다는 통지를 받긴 했지만 배출가스 조작 SW는 아니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이번 추가 적발로 폭스바겐의 배출가스 조작 파문은 한층 더 커지게 됐다. 폭스바겐그룹은 지난 9월 배출가스 조작 사태에 책임을 지고 물러난 마르틴 빈터코른 최고경영자(CEO) 자리에 마티아스 뮐러 포르쉐 사장을 선임했다. 포르쉐가 이번에 추가로 적발되면서 뮐러 CEO를 포함한 현재 경영진도 배출가스 조작에 연루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또 폭스바겐그룹 내에서 2L 이하급 엔진은 폭스바겐이, 3L 이상 엔진은 아우디가 개발하기 때문에 이번 조작이 전 그룹에 걸쳐 광범위하게 계획됐다는 의혹도 커지고 있다.

한국 환경부는 이달 중순까지 기존에 문제가 된 폭스바겐과 아우디 2L 이하급 모델에 대한 조사를 끝내고 결과를 발표한 뒤 곧바로 3L급 차종을 조사할 예정이다. 조작 장치가 확인되면 판매정지, 리콜, 인증 취소, 과징금 부과 등 네 가지 조치를 할 수 있다.

포르쉐 카이엔 디젤은 올 들어 9월까지 국내에서 1034대가 팔려 전년 동기 721대에 비해 43.4%나 판매가 급증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아우디의 A6 40 TDI 콰트로는 9월 440대가 팔려 국내 수입 디젤차 베스트셀러 7위에 올랐다.

앞서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는 지난달 20일 28개 차종 12만5222대가 조작 차량이라고 밝혔다. 이번에 3L급이 추가되면서 조작 차량이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아졌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