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종합화학 노사, 파업-직장폐쇄 철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임단협 협상 마무리
한화종합화학 노사가 각각 파업과 직장폐쇄를 철회했다. 노조가 회사 측 임단협(임금 및 단체협약)안을 수용하기로 방침을 정하면서 노사 간 임단협 협상도 마무리됐다.
한화종합화학은 노조가 4일 오후 3시 전면파업을 철회했고, 회사는 오후 4시 직장폐쇄를 철회했다고 밝혔다. 노조는 상여금 600%를 2년 내 통상임금으로 적용하고, 임금피크제는 56세부터 60세까지 적용하자는 회사 측 안을 수용하기로 했다. 한화종합화학 노사는 일시급 150만원 지급과 휴가 5일 신설 등에도 합의했다.
당초 노조는 임금피크제를 58세부터 시작하자며 맞섰다. 노조는 지난달 15일부터 전면파업에 돌입했고, 회사는 지난달 30일 시설보호 등을 이유로 울산 공장에 대해 직장폐쇄를 단행했다.
노조가 파업을 철회하고 회사 측 안을 수용키로 방침을 정한 데는 회사 적자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파업을 강행한 것과 관련, 비난 여론이 커진 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석유화학업계는 분석했다. 사측은 조합이 생산현장에 복귀해 정상적으로 조업에 임하고, 노조와 비노조 간 위화감을 조성하지 않으면 민형사상 고소나 징계를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
한화종합화학은 노조가 4일 오후 3시 전면파업을 철회했고, 회사는 오후 4시 직장폐쇄를 철회했다고 밝혔다. 노조는 상여금 600%를 2년 내 통상임금으로 적용하고, 임금피크제는 56세부터 60세까지 적용하자는 회사 측 안을 수용하기로 했다. 한화종합화학 노사는 일시급 150만원 지급과 휴가 5일 신설 등에도 합의했다.
당초 노조는 임금피크제를 58세부터 시작하자며 맞섰다. 노조는 지난달 15일부터 전면파업에 돌입했고, 회사는 지난달 30일 시설보호 등을 이유로 울산 공장에 대해 직장폐쇄를 단행했다.
노조가 파업을 철회하고 회사 측 안을 수용키로 방침을 정한 데는 회사 적자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파업을 강행한 것과 관련, 비난 여론이 커진 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석유화학업계는 분석했다. 사측은 조합이 생산현장에 복귀해 정상적으로 조업에 임하고, 노조와 비노조 간 위화감을 조성하지 않으면 민형사상 고소나 징계를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