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대사업 범위 대폭 줄어…884곳 중 설립 2곳 그쳐
병원 자회사 설립 까다롭고 가능한 사업 3개뿐
정부가 서비스산업 육성을 위해 일반병원(의료법인)도 자회사를 세워 부대(영리)사업을 할 수 있도록 허용했지만 시행 1년이 넘도록 실적이 전무(全無)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회사 설립 요건이 까다로운 데다 ‘의료 영리화 반대’ 주장을 앞세운 야당과 시민단체의 저항으로 부대사업 허용 범위가 처음 계획보다 크게 축소됐기 때문이다.
8일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등에 따르면 지난해 8월 정부가 의료법인의 자회사 설립을 허용한 뒤 부대사업을 위해 자회사를 세운 곳은 전체 884개 의료법인 중 참예원의료재단과 혜원의료재단 두 곳뿐이다. 두 의료법인도 자회사를 통한 사업은 아직 시작하지 못하고 있다. 이 두 법인 외에 자회사 설립을 통해 부대사업을 하려고 준비 중인 의료법인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복지부 관계자는 “규제를 풀어 투자개방형 병원의 초보적 성공 사례를 내놓겠다는 게 자회사를 통한 부대사업 허용의 취지였다”며 “그러나 야당과 일부 시민단체의 반대에 부딪혀 규제가 제대로 풀리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국의료재단연합회 관계자는 “자회사 설립 허가 조건이 여덟 가지에 달하는 데다 애초 병원들이 수익사업으로 관심을 뒀던 장례식장과 화장품·의약품 제조 판매 등은 허용 대상에서 빠졌다”고 설명했다.
의료법인은 순이익의 20%까지만 자회사에 투자할 수 있다는 규제도 병원의 자회사 설립을 어렵게 하는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다. 자회사를 설립하려는 병원의 자본 조달 여력을 제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정부가 지난해 8월 병원(의료법인)의 영리 자회사를 허용한 데는 투자개방형 병원 설립 문제를 우회 돌파하겠다는 의도가 담겨 있었다. 병원을 대형화해 경쟁력을 높인다는 취지의 투자개방형 병원은 야당과 일부 시민단체의 반대로 10년째 법제화되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투자개방형 병원이 당장 어렵다는 판단에 따라 병원이 자회사를 설립해 일부 영리사업을 할 수 있도록 길을 터주려고 했다.
하지만 병원 자회사를 통한 영리사업은 허용 1년2개월이 넘도록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반쪽짜리 규제개혁’ 탓이다. 형식적인 규제를 완화하면서 여러 제약 조건을 걸어 놓았다. 우선 자회사 설립 허가 조건이 너무 까다롭다는 지적이 많다. 한국의료재단연합회 관계자는 “자회사 설립 요건이 의료법인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자회사 설립을 허가받으려면 외부 감사 및 결산서류 공시 등 여덟 가지 까다로운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반면 자회사를 통해 할 수 있는 사업은 세 가지뿐이다. 장애인 보조기구 제조업과 의료관광업, 의료기기 연구개발 등이다. 정부는 애초 헬스케어나 제약, 건강기능식품 판매업 등도 의료법인이 자회사를 통해 할 수 있게 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야당과 일부 시민단체에서 제기한 ‘의료 영리화’ 논란에 휩쓸리면서 병원 자회사가 할 수 있는 사업 대상이 크게 축소됐다. 병원들이 관심을 보였던 건강기능식품과 의료기기 제조업은 병원이 환자들에게 강매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금지됐다. 장례식장, 주차장, 산후조리원 등 기존 의료법인의 부대사업도 자회사를 통해서는 안 된다고 제한했다.
의료법인 순이익의 80% 이상을 공익 목적에 써야 한다는 재투자 조항도 의료법인 자회사 설립의 발목을 잡고 있다. 이용균 한국병원경영연구원 연구실장은 “의료법인 대부분이 200병상 이하의 중소 병원으로 연간 순이익이 10억원 미만”이라며 “이익금의 20%(2억원)만으로는 영리사업을 하기에 역부족”이라고 말했다.
"가뜩이나 지난 12월 여러 큰 사건이 있고 나서 회식이 하나도 없어서 힘들었어요.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팩트 확인도 없이 이런 글이 온라인상에 올라가 속상했죠."13일 오후 국회의사당역 3번 출구 인근의 한 한식당에서 만난 점주 김주현(51) 씨는 이같이 말하며 한숨을 내쉬었다.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 사태 이후 서울 여의도 일대에 운집한 집회 참가자들로부터 '별점 테러' 피해를 입었다는 것이다. 해당 식당은 집회 이전부터 군인, 경찰을 대상으로 할인 정책을 펼쳤던 곳인데, '점주가 대통령 탄핵을 반대해 집회 이후 군·경 대상으로 할인 판매를 시작한 매장'이라는 오해가 불거졌다.잘못된 정보가 담긴 글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일파만파 확산하면서 포털의 식당 리뷰에도 별점 테러가 쏟아졌다.법조계 전문가들은 온라인상에 별점 테러를 하는 행위도 명예훼손죄가 성립할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할인 판매 1년 전부터 하고 있었는데"매장을 오픈한 지 1년가량 됐다는 김 씨는 "근처에 국회도 있고 당사도 있으니까 경찰들이 자주 식사하러 온다"며 "이분들 식사비가 1만원으로 제한돼 있는데, 저희는 1만1000원인 메뉴도 판다"며 운을 뗐다.그러면서 "주변에도 군인, 경찰 할인하는 매장이 더러 있길래 '고생들 하시는데 우리도 따뜻한 음식 대접해드리자'는 생각으로 오픈 초기부터 1만1000원 메뉴를 1만원에 판매한다는 포스터스탠드(POP)를 설치한 것뿐"이라며 온라인상에서 논란이 된 포스터에 대해 해명했다.김 씨의 취지와 달리, 해당 매장은 현재 악성 리뷰로 고통받고 있다. 이 식당의 카카오맵 리뷰에는 1점대의
[문제1] 가격 규제 정책과 관련한 아래의 설명 중 옳은 것을 고르면?ㄱ. 최고가격제를 시행하면 초과수요가 발생한다.ㄴ. 최저가격제는 시장 균형가격보다 가격을 높게 설정한다.ㄷ. 최고가격제의 대표적인 예는 농산물 가격 지지 정책이다.ㄹ. 최저임금제는 생산요소시장에서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함이다.(1) ㄱ, ㄴ(2) ㄱ, ㄷ(3) ㄴ, ㄷ(4) ㄴ, ㄹ(5) ㄷ, ㄹ[해설] 최고가격제는 법정 최고금리 규제나 분양가 상한제처럼 시장균형보다 가격을 낮게 통제하는 제도다. 이를 시행하면 초과수요가 발생한다. 반대로 최저가격제는 시장균형보다 가격을 높게 통제하는 제도다. 최저임금제가 대표적 사례로 이는 생산요소시장에서 공급자인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정책이다. 생산요소시장에서 소비자는 기업이다. 최저임금제를 시행하면 노동 초과공급이 발생해 이전보다 실업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농산물 가격 지지 정책은 농가 소득을 보장하기 위한 목적의 최저가격제다.정답 ①[문제2] 소비자잉여와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1) 1급 가격차별에서는 소비자잉여가 0보다 크다.(2) 독점시장보다 완전경쟁시장에서 소비자잉여가 크다.(3) 소비자잉여는 소비자가 시장 거래에 참여하여 얻는 이득을 나타낸다.(4) 완전경쟁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이 균형 상태를 이루면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의 합이 극대화된다.(5) 소비자잉여란 구입자의 최대지불용의에서 구입자가 실제로 지불한 금액을 뺀 나머지 금액을 말한다.[해설] 소비자잉여란 소비자가 어떤 재화를 구입하기 위해 지불할 용의가 있는 최대 가격에서 실제 지불한 가격을 뺀 금액이다. 이는 소비자가 시장에서 상품을 구입함으로써 얻는 이익의 크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