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명 12번 바꾼 새정치민주연합, 총선 앞두고 또 '간판' 교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호남 신당 창당·문재인-안철수 대립 맞물려 관심 증폭
전병헌 "김한길·안철수 의견 경청"
손혜원 "당장 시작해도 빠듯 …"
"조기 교체" vs "신중해야" 이견
갈등 커지면 '긁어부스럼' 될수도
전병헌 "김한길·안철수 의견 경청"
손혜원 "당장 시작해도 빠듯 …"
"조기 교체" vs "신중해야" 이견
갈등 커지면 '긁어부스럼' 될수도
새정치민주연합이 당명 개정작업에 들어갔다. 2013년 안철수 신당과 통합한 뒤 논의 자체를 자제해왔지만, 내년 총선을 치르려면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내부 공감대가 형성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새정치연합 ‘창당 6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는 19일 실행위원회를 열고 당명 개정사업을 하기로 의결했다. 위원회는 앞으로 당명 개정작업과 관련한 논의를 거친 뒤 전국 대의원을 대상으로 ‘당명 개정 필요성’에 대한 여론조사를 시행하기로 했다. 홍보전문가로 영입된 손혜원 홍보위원장은 지난 1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당일치기 현수막이나 해결하려고 인생의 가장 큰 결심을 해 이곳에 온 것이 아니다”며 당명 개정 움직임에 불을 붙였다. 손 위원장은 “당명을 바꾸는 데는 최소 두 달 이상 시간이 걸린다”며 “총선을 앞두고 유권자들이 바뀐 당명을 인지할 시간 등을 감안하면 지금 당장 착수해도 시간이 빠듯하다”고 말했다. 손 위원장은 국민 공모방식을 통해 당명 개정을 추진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반해 창당 6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장을 맡고 있는 전병헌 최고위원은 “의원들을 만나 의견 수렴 절차부터 밟아야 하고, 합당주체인 김한길, 안철수 전 대표의 의견도 들어야 한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전 최고위원과 손 위원장이 개정속도와 방법론을 놓고 미묘한 신경전을 벌이는 것은 당명 개정이 여러 계파가 합쳐진 당내 갈등을 부추길 만큼 ‘휘발성’이 큰 이슈이기 때문이다.
야당은 1987년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이 김영삼 전 대통령과 결별해 평화민주당을 창당한 이후에만 12번 당명을 바꿨다. 이처럼 야당이 여당에 비해 당명 변경이 잦은 이유는 당내 계파 갈등을 봉합하고 여러 세력을 통합하는 등 ‘정계개편’의 명분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당내 신당 움직임을 비롯해 문재인 대표가 안 전 대표와 연대를 추진하는 움직임과 맞물려 당명 개정에는 적잖은 진통이 예상된다.
현역의원을 포함해 당원들은 당명에 반드시 ‘민주’가 포함돼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최근 지도부 회의에서는 ‘새정치민주당’을 새 당명으로 하는 것이 어떠냐는 의견이 유력하게 거론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마포에 당사를 둔 원외정당인 ‘민주당’이 이미 상표등록을 마친 데다 ‘신민당’ ‘새시대민주당’ 등 신당이 추진되고 있어 ‘민주’를 조합한 당명 개정이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게 딜레마다.
당의 통합 주역인 안 전 대표가 “이름을 바꾸는 것이 본질은 아니다”고 심드렁한 반응을 보이는 것도 변수다.
손성태 기자 mrhand@hankyung.com
새정치연합 ‘창당 6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는 19일 실행위원회를 열고 당명 개정사업을 하기로 의결했다. 위원회는 앞으로 당명 개정작업과 관련한 논의를 거친 뒤 전국 대의원을 대상으로 ‘당명 개정 필요성’에 대한 여론조사를 시행하기로 했다. 홍보전문가로 영입된 손혜원 홍보위원장은 지난 1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당일치기 현수막이나 해결하려고 인생의 가장 큰 결심을 해 이곳에 온 것이 아니다”며 당명 개정 움직임에 불을 붙였다. 손 위원장은 “당명을 바꾸는 데는 최소 두 달 이상 시간이 걸린다”며 “총선을 앞두고 유권자들이 바뀐 당명을 인지할 시간 등을 감안하면 지금 당장 착수해도 시간이 빠듯하다”고 말했다. 손 위원장은 국민 공모방식을 통해 당명 개정을 추진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반해 창당 6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장을 맡고 있는 전병헌 최고위원은 “의원들을 만나 의견 수렴 절차부터 밟아야 하고, 합당주체인 김한길, 안철수 전 대표의 의견도 들어야 한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전 최고위원과 손 위원장이 개정속도와 방법론을 놓고 미묘한 신경전을 벌이는 것은 당명 개정이 여러 계파가 합쳐진 당내 갈등을 부추길 만큼 ‘휘발성’이 큰 이슈이기 때문이다.
야당은 1987년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이 김영삼 전 대통령과 결별해 평화민주당을 창당한 이후에만 12번 당명을 바꿨다. 이처럼 야당이 여당에 비해 당명 변경이 잦은 이유는 당내 계파 갈등을 봉합하고 여러 세력을 통합하는 등 ‘정계개편’의 명분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당내 신당 움직임을 비롯해 문재인 대표가 안 전 대표와 연대를 추진하는 움직임과 맞물려 당명 개정에는 적잖은 진통이 예상된다.
현역의원을 포함해 당원들은 당명에 반드시 ‘민주’가 포함돼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최근 지도부 회의에서는 ‘새정치민주당’을 새 당명으로 하는 것이 어떠냐는 의견이 유력하게 거론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마포에 당사를 둔 원외정당인 ‘민주당’이 이미 상표등록을 마친 데다 ‘신민당’ ‘새시대민주당’ 등 신당이 추진되고 있어 ‘민주’를 조합한 당명 개정이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게 딜레마다.
당의 통합 주역인 안 전 대표가 “이름을 바꾸는 것이 본질은 아니다”고 심드렁한 반응을 보이는 것도 변수다.
손성태 기자 mrhan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