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거주 전원주택의 진화] 난방비 폭탄 피하려면 '패시브 하우스' 고려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커버스토리 - 전원주택 직접 건축 팁
주택 내·외관에만 신경쓰다
가스·전력망에서 불편 겪어
주택 내·외관에만 신경쓰다
가스·전력망에서 불편 겪어
전원주택 구입에 앞서 단지 내 기반시설을 꼼꼼히 점검해야 한다고 부동산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가스와 전력 공급장치, 상하수도 시설 등이 대표적이다. 주택 내·외관을 꾸미는 데 신경 쓰다가 기반시설 점검을 소홀히 해 입주 뒤 불편을 겪는 사례가 적지 않아서다.
지붕과 바닥, 벽면이 외부에 노출된 전원주택은 아파트에 비해 겨울철 추위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나온 게 에너지 절감형 주택인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사진)다. 건축 설계 단계부터 단열재를 대폭 보강하고 특수 창문 등을 사용하면 난방비를 최대 70%까지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 에너지 절감형 주택의 건축비는 일반 주택보다 3.3㎡당 100만원가량 비싸다.
‘난방비 폭탄’을 피하기 위해선 계약 전 주택의 가스 공급 방식을 확인해야 한다. 집까지 도시가스가 들어오는 경우가 최상이다. 하지만 교외에 자리 잡은 전원주택 특성상 도시가스를 직접 공급받는 곳은 많지 않다. 액화석유가스(LPG)를 사용하는 주택이라면 단지 안에 공용 가스탱크가 마련돼 있는 곳을 택하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전력 공급시설도 따져봐야 한다. 전력선이 땅에 묻혀 있는 지중화 사업이 이뤄진 단지를 선택하는 것이 외관상으로 좋다. 전력시설은 한국전력공사에서 검수를 받은 인가 시설인지 확인하는 것도 필요하다. 편리한 생활을 위해선 최소 5㎾ 이상의 가구별 전력을 갖춰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상하수도 시설도 점검해야 한다. 상수도는 준공서류의 지하수 관정 용량을 확인하고 공용 물탱크와 가압펌프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단지 내 하수 공용처리장이 있는지 살피는 것도 빠뜨리면 안 된다. 자금 조달 문제도 신경 써야 한다. 택지개발지구가 아니라 민간 택지에 짓는 전원주택은 토지와 주택 등기 이전이 끝나 소유권이 구입자에게 완전히 넘어온 뒤부터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있다.
홍선표 기자 rickey@hankyung.com
지붕과 바닥, 벽면이 외부에 노출된 전원주택은 아파트에 비해 겨울철 추위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나온 게 에너지 절감형 주택인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사진)다. 건축 설계 단계부터 단열재를 대폭 보강하고 특수 창문 등을 사용하면 난방비를 최대 70%까지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 에너지 절감형 주택의 건축비는 일반 주택보다 3.3㎡당 100만원가량 비싸다.
‘난방비 폭탄’을 피하기 위해선 계약 전 주택의 가스 공급 방식을 확인해야 한다. 집까지 도시가스가 들어오는 경우가 최상이다. 하지만 교외에 자리 잡은 전원주택 특성상 도시가스를 직접 공급받는 곳은 많지 않다. 액화석유가스(LPG)를 사용하는 주택이라면 단지 안에 공용 가스탱크가 마련돼 있는 곳을 택하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전력 공급시설도 따져봐야 한다. 전력선이 땅에 묻혀 있는 지중화 사업이 이뤄진 단지를 선택하는 것이 외관상으로 좋다. 전력시설은 한국전력공사에서 검수를 받은 인가 시설인지 확인하는 것도 필요하다. 편리한 생활을 위해선 최소 5㎾ 이상의 가구별 전력을 갖춰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상하수도 시설도 점검해야 한다. 상수도는 준공서류의 지하수 관정 용량을 확인하고 공용 물탱크와 가압펌프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단지 내 하수 공용처리장이 있는지 살피는 것도 빠뜨리면 안 된다. 자금 조달 문제도 신경 써야 한다. 택지개발지구가 아니라 민간 택지에 짓는 전원주택은 토지와 주택 등기 이전이 끝나 소유권이 구입자에게 완전히 넘어온 뒤부터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있다.
홍선표 기자 ricke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