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진쎄미켐의 대 이은 'R&D 집념'…염료감응형 태양전지로 신시장 개척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강소기업 '월드클래스300' 이준혁 동진쎄미켐 대표
창업주의 반도체 기술, LCD 부품 국산화로 이어져
연구개발에 실패하더라도 격려해주는 사내 분위기
"내년 매출 8000억 목표"
창업주의 반도체 기술, LCD 부품 국산화로 이어져
연구개발에 실패하더라도 격려해주는 사내 분위기
"내년 매출 8000억 목표"
1967년 서울 연희동 주변은 온통 논밭이었다. 반도체·LCD(액정표시장치) 소재업체인 동진쎄미켐 창업주 이부섭 회장은 이곳에 집 한 칸을 마련하고 창고에 작은 연구실을 만들었다. 서울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한 이 회장은 중고 화학반응기를 설치하고 각종 실험을 했다. 실험 중 화학물질이 유출되는 바람에 몇 번이나 화재가 발생했다. 이준혁 동진쎄미켐 대표(사진)는 “불이 나면 어머니가 갓난아기인 저를 업고 집 밖으로 피신하곤 했다”고 당시를 떠올렸다.
그해 동진쎄미켐을 설립한 이 회장은 신발 밑창에 들어가는 발포제를 제품화했다. 발포제로 시작된 연구개발(R&D)은 반도체, LCD, 태양전지 등 첨단분야로 이어지고 있다. 반도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감광액 점유율은 세계 1~2위를 다투고 있다. 이 회사의 올해 예상 매출은 7060억원대. 이런 성과를 인정받아 세계적인 강소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정부가 운영 중인 ‘월드클래스 300’에 선정됐다.
◆반도체 R&D로 얻은 LCD 기술
이 대표는 이 회장의 ‘R&D 열정’을 고스란히 이어받았다. 부친과 대학 동문인 그는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에서 박사학위를 따고, 1994년 동진쎄미켐에 입사했다.
이 대표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개발에 R&D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지금까지 회사가 시도하지 않았던 분야다. 반도체와 LCD 소재분야로 사업 영역을 넓힌 부친처럼 그도 새 분야를 개척하고 있는 것이다.
동진쎄미켐이 LCD 시장에 진출한 시기는 1994년이다. 액정과 박막레지스터(TFT), 컬러필터 등으로 구성된 TFT-LCD 부품 중 TFT 생산에 필요한 화학원료(PR)를 개발했다. TFT는 LCD의 각 화소를 켜거나 끄는 등의 역할을 한다. 이 사업을 발판으로 유기절연막 소재 등 LCD 부품을 생산해 냈다. 회사 매출의 60%도 이 분야에서 나온다.
이 대표는 “아버지가 10여년 전부터 투자한 반도체 R&D에서 LCD PR 제조기술을 얻게 됐다”며 “끊임없는 도전이 없었다면 동진쎄미켐을 중견기업으로 도약시킨 LCD 관련 부품시장에 진입도 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올초에는 100% 수입에 의존하던 LCD 액정도 개발했다. 이 대표는 “한국이 LCD디스플레이 시장 세계 1위지만 액정은 전부 수입해 왔다”며 “10년 이상 R&D에 집중한 것이 하나하나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분야 개척
동진쎄미켐의 차세대 성장분야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다. 두 장의 유리 사이에 염료를 집어넣어 전기를 일으키는 장치다. 건물 외벽에 설치하는 일체형 태양전지로 적합하지만 아직은 가격이 너무 비싸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게 이 대표의 평가다.
그는 “전기자동차 업체 테슬라처럼 ‘미래 분야’에 도전하기 위해 R&D 역량의 절반을 투자하고 있다”며 “시장을 선점하려는 도전이 없다면 만년 2등에 불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동진쎄미켐 직원 1017명 중 31%인 319명이 R&D 인력이다.
이 대표는 “R&D 부문에서 성실한 실패를 인정하고 격려하는 분위기를 정착시키겠다”며 “첨단분야에서 새로운 제품을 끊임없이 내놔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이지수 기자 onething@hankyung.com
그해 동진쎄미켐을 설립한 이 회장은 신발 밑창에 들어가는 발포제를 제품화했다. 발포제로 시작된 연구개발(R&D)은 반도체, LCD, 태양전지 등 첨단분야로 이어지고 있다. 반도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감광액 점유율은 세계 1~2위를 다투고 있다. 이 회사의 올해 예상 매출은 7060억원대. 이런 성과를 인정받아 세계적인 강소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정부가 운영 중인 ‘월드클래스 300’에 선정됐다.
◆반도체 R&D로 얻은 LCD 기술
이 대표는 이 회장의 ‘R&D 열정’을 고스란히 이어받았다. 부친과 대학 동문인 그는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에서 박사학위를 따고, 1994년 동진쎄미켐에 입사했다.
이 대표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개발에 R&D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지금까지 회사가 시도하지 않았던 분야다. 반도체와 LCD 소재분야로 사업 영역을 넓힌 부친처럼 그도 새 분야를 개척하고 있는 것이다.
동진쎄미켐이 LCD 시장에 진출한 시기는 1994년이다. 액정과 박막레지스터(TFT), 컬러필터 등으로 구성된 TFT-LCD 부품 중 TFT 생산에 필요한 화학원료(PR)를 개발했다. TFT는 LCD의 각 화소를 켜거나 끄는 등의 역할을 한다. 이 사업을 발판으로 유기절연막 소재 등 LCD 부품을 생산해 냈다. 회사 매출의 60%도 이 분야에서 나온다.
이 대표는 “아버지가 10여년 전부터 투자한 반도체 R&D에서 LCD PR 제조기술을 얻게 됐다”며 “끊임없는 도전이 없었다면 동진쎄미켐을 중견기업으로 도약시킨 LCD 관련 부품시장에 진입도 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올초에는 100% 수입에 의존하던 LCD 액정도 개발했다. 이 대표는 “한국이 LCD디스플레이 시장 세계 1위지만 액정은 전부 수입해 왔다”며 “10년 이상 R&D에 집중한 것이 하나하나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분야 개척
동진쎄미켐의 차세대 성장분야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다. 두 장의 유리 사이에 염료를 집어넣어 전기를 일으키는 장치다. 건물 외벽에 설치하는 일체형 태양전지로 적합하지만 아직은 가격이 너무 비싸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게 이 대표의 평가다.
그는 “전기자동차 업체 테슬라처럼 ‘미래 분야’에 도전하기 위해 R&D 역량의 절반을 투자하고 있다”며 “시장을 선점하려는 도전이 없다면 만년 2등에 불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동진쎄미켐 직원 1017명 중 31%인 319명이 R&D 인력이다.
이 대표는 “R&D 부문에서 성실한 실패를 인정하고 격려하는 분위기를 정착시키겠다”며 “첨단분야에서 새로운 제품을 끊임없이 내놔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이지수 기자 oneth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