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중·EU와 FTA 맺은 유일한 나라…물류 장점 살리면 외국인 투자 급증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제자유구역 비즈니스데이
한국 FTA망 적극활용 주문
한국 FTA망 적극활용 주문
“미국, 중국, 유럽연합(EU)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은 국가는 한국이 유일합니다. 이런 이점을 활용해 한국을 ‘물류 허브’로 키운다면 지금보다 훨씬 많은 외국인 투자를 유치할 수 있을 겁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7개 경제자유구역은 ‘글로벌 투자환경 격변의 시대, 경제자유구역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25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2015 경제자유구역 비즈니스데이’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경제자유구역 투자에 관심이 많은 국내외 기업 대표 및 투자 관련 전문가, 주한 외국 대사관 관계자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송희연 아시아개발연구원 이사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한국 경제가 정체돼 있는 지금 가장 필요한 건 규제를 없애고 과감한 개혁·개방정책을 실시하는 일”이라며 “이를 경제자유구역 내에서 시험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 이사장은 이어 “경제자유구역을 ‘규제 제로지역’으로 조성해 그 안에 첨단제조업 클러스터 등을 세우고, 외국 대학 본교의 연구개발(R&D)센터 등을 유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발제자로 나선 한기원 인베스트코리아 대표는 외국인 투자 유치를 활성화하려면 한국의 ‘FTA망’을 적극 이용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 대표는 “한·중 FTA가 발효되면 길게는 1주일씩 걸리던 수출입 제품 통관일이 48시간 이내로 줄어든다”며 “게다가 중국 내 충칭에서 상하이까지 물건을 배달하는 데는 이틀이 걸리지만 인천에서 상하이까지는 비행기로 네 시간이면 된다”고 강조했다.
지난 20일 인천경제자유구역에 산업용 인클로저(캐비닛 등 기기를 둘러싸는 보호장치) 제조 및 연구시설을 준공한 리탈코리아의 마틴 로터문드 대표는 강단에 나서 한국 투자 경험담에 대해 설명했다. 로터문드 대표는 “현대·기아자동차 등 리탈코리아의 주요 고객과 원활하게 소통하기 위해 한국에 투자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공장과 사옥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시공사가 문을 닫는 등 현실적인 문제에 많이 부딪혔다”며 “믿을 수 있는 협력 업체를 정부에서 추천해 주고, 부족한 주차공간 등 사소한 문제까지 해결해 준다면 더 많은 기업이 한국 경제자유구역에 둥지를 틀 것”이라고 덧붙였다.
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
산업통상자원부와 7개 경제자유구역은 ‘글로벌 투자환경 격변의 시대, 경제자유구역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25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2015 경제자유구역 비즈니스데이’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경제자유구역 투자에 관심이 많은 국내외 기업 대표 및 투자 관련 전문가, 주한 외국 대사관 관계자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송희연 아시아개발연구원 이사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한국 경제가 정체돼 있는 지금 가장 필요한 건 규제를 없애고 과감한 개혁·개방정책을 실시하는 일”이라며 “이를 경제자유구역 내에서 시험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 이사장은 이어 “경제자유구역을 ‘규제 제로지역’으로 조성해 그 안에 첨단제조업 클러스터 등을 세우고, 외국 대학 본교의 연구개발(R&D)센터 등을 유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발제자로 나선 한기원 인베스트코리아 대표는 외국인 투자 유치를 활성화하려면 한국의 ‘FTA망’을 적극 이용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 대표는 “한·중 FTA가 발효되면 길게는 1주일씩 걸리던 수출입 제품 통관일이 48시간 이내로 줄어든다”며 “게다가 중국 내 충칭에서 상하이까지 물건을 배달하는 데는 이틀이 걸리지만 인천에서 상하이까지는 비행기로 네 시간이면 된다”고 강조했다.
지난 20일 인천경제자유구역에 산업용 인클로저(캐비닛 등 기기를 둘러싸는 보호장치) 제조 및 연구시설을 준공한 리탈코리아의 마틴 로터문드 대표는 강단에 나서 한국 투자 경험담에 대해 설명했다. 로터문드 대표는 “현대·기아자동차 등 리탈코리아의 주요 고객과 원활하게 소통하기 위해 한국에 투자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공장과 사옥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시공사가 문을 닫는 등 현실적인 문제에 많이 부딪혔다”며 “믿을 수 있는 협력 업체를 정부에서 추천해 주고, 부족한 주차공간 등 사소한 문제까지 해결해 준다면 더 많은 기업이 한국 경제자유구역에 둥지를 틀 것”이라고 덧붙였다.
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