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1511/01.10907209.1.jpg)
실제로 많은 난방비가 부과되는 겨울철은 아파트 관리비 부담이 큰 시기다. 국토교통부 공동주택관리 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1월, 1㎡당 2086원 정도였던 평균 관리비는 12월에는 2463원, 올해 1월과 2월에는 각각 2511원과 2381원까지 최대 약 20% 가량 늘어났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지역난방은 늘어나는 겨울철 관리비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다. 지역난방은 열병합 발전소에서 생산된 고온의 난방수를 땅속에 묻혀 있는 이중 보온관을 통해 각 아파트 단지 기계실까지 공급한다. 이를 이용해 기계실에 설치된 열교환기를 통해 건물 내의 물을 데워 각 가구에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처럼 지역난방은 대규모 열생산시설에서 경제적으로 열을 생산하므로 가격이 저렴하고, 자체 열생산시설의 교체, 수선유지비 등도 절감 된다. 지역난방공사 자료에 따르면 지역난방보다 LNG 중앙난방은 약 37%, LNG개별난방은 약 23%의 비용이 더 든다.
지역 난방이 적용된 곳에 들어서는 새 아파트들은 더욱 관리비를 아낄 수 있다. 최근에는 단지 내에 태양광·지열 등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을 갖추고 조명·난방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제어기술 등이 들어가 편리하게 관리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연내 전국에서는 지역난방이 적용되는 곳에 들어서는 첨단 시스템을 적용한 단지들이 적지 않다. 현대건설은 11월, 경기도 파주 운정신도시 A24블록에서 ‘힐스테이트 운정’을 분양한다. 단지는 지하 1층~지상 29층, 25개동, 전용면적 59~84㎡, 총 2998가구의 대단지다.
지역난방이 적용되며 전기와 수도, 가스 사용량 등을 실시간으로 보여 주는 ‘세대별 에너지 관리시스템’을 적용해 자신이 사용한 에너지량을 직접 확인 가능하다. 각 침실별로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도 적용된다. 빗물을 저장해 단지 내 조경수 및 청소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지하주차장에도 전력소비량이 적은 LED 조명이 적용됐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511/01.10907208.1.jpg)
금호산업은 11월, 경기도 화성 동탄2신도시 A91블록에서 '동탄2신도시 금호어울림 레이크'를 분양한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5층 10개 동 전용면적 59~84㎡ 총 812가구로 이뤄졌다. 지역난방 방식을 채택한 이 단지는 에너지효율 1등급 단지로 관리비 절감 효과를 극대화했다.
고효율 조명기기를 비롯해 에너지 절약과 소음저감에 효과적인 로이복층유리 이중창 적용, 태양광발전설비, 지역난방시스템,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 스마트 환기시스템, 홈네트워크시스템을 갖춘 월패드를 적용하는 등 에너지 절약형 친환경 단지로 꾸며진다.
신안은 11월, 경기도 화성 동탄2신도시 A99블록과 A100블록에서 '신안인스빌 리베라' 3차와 4차를 분양한다. A99블록에 위치한 신안인스빌 리베라 3차는 지하 3층~지상 20층, 6개동, 전용면적 84~96㎡ 총 470가구로 공급된다. A100블록 신안인스빌 리베라 4차는 지하 2층~지상 15층, 9개 동, 전용면적 84~96㎡, 총 510가구 규모다. 지역난방이 적용되고 고성능 로이(LOW0-E) 이중창 설계로 단열효과 및 에너지 효율을 높여 관리비절약에 도움을 준다.
대우건설은 11월, 인천광역시 남동구 서창2지구 5블록에서 '서창 센트럴 푸르지오'를 분양한다. 이 단지는 지하 1층~지상 25층, 10개동, 전용면적 74~84㎡, 총 1160가구 규모다. ‘그린 프리미엄’ 상품이 적용돼 절약습관을 유도하고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호출, 가스 차단 및 세대 조명을 한번에 소등할 수 있는 스마트 일괄제어 스위치, 난방에너지 절감시스템이 설치된다.
업계 전문가는 “관리비는 꾸준히 나가는 고정 지출로 분양가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직접 거주하려는 실수요자들이라면 꼼꼼히 따져봐야 할 부분”이라며 “ 최근 아파트들의 경우 단열성능을 강화하고 첨단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는 곳들이 많기 때문에 관리비가 부담되는 노후 아파트 거주자들이라면 갈아타기를 고려해볼만하다”고 말했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