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회 한경닷컴 일본경제포럼 개막…2016 한·일 경제 심층분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령화 사회와 저성장 시대'라는 숙제를 안고 있는 한국이 일본의 사례에서 해법을 찾을 수 있을까.
한경닷컴과 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은 4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 불스홀에서 '대예측 2016, 한국 일본 경제 어디로'를 주제로 제7회 일본경제포럼을 개최했다.
불투명한 한국경제의 미래에 관심을 가진 독자들이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불스홀을 가득 채웠다.
세미나에서는 새해를 앞두고 양국 경제에 정평이 난 전문가들이 한·일 경제 전망에 대해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에 나선다.
소비와 정치외교, 농업 등 각 분야에서 한국과 일본 경제의 미래 비전을 논한다. 전문가들의 식견을 빌려 한국과 일본의 현재와 미래를 통찰하는 자리이기도 하다.
제7회 일본경제포럼의 첫 번째 발표는 이종윤 한일경제협회 부회장이 맡았다. 이 부회장은 한일 민간경제협력 최전선에서 본 '2016년 한국과 일본 경제 전망'에 대해 발표한다.
이어 △이춘규 남서울대 초빙교수(한일 농업 비즈니스) △이정희 중앙대 교수(새해 한국 소비시장) △이원덕 국민대 교수(한일 정치외교 관계 전망) △최인한 한국경제신문 편집국 부국장 겸 한경닷컴 뉴스국장(기사로 보는 2016년 일본경제)이 강연자로 나선다.
이번 포럼에서는 한일 경제 현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위해 참석자들에게 충분한 질문시간을 제공했다. 포럼은 이날 오후 1시부터 6시까지 진행되며 사전 신청자들만 입장이 가능하다. 참가비는 일반인 2만 원, 학생은 무료이다.
이종윤 부회장은 "한국보다 앞서 고령화 사회를 맞아 시행착오를 거친 일본을 들여다보면서 우리 역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일본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한경닷컴과 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은 4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 불스홀에서 '대예측 2016, 한국 일본 경제 어디로'를 주제로 제7회 일본경제포럼을 개최했다.
불투명한 한국경제의 미래에 관심을 가진 독자들이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불스홀을 가득 채웠다.
세미나에서는 새해를 앞두고 양국 경제에 정평이 난 전문가들이 한·일 경제 전망에 대해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에 나선다.
소비와 정치외교, 농업 등 각 분야에서 한국과 일본 경제의 미래 비전을 논한다. 전문가들의 식견을 빌려 한국과 일본의 현재와 미래를 통찰하는 자리이기도 하다.
제7회 일본경제포럼의 첫 번째 발표는 이종윤 한일경제협회 부회장이 맡았다. 이 부회장은 한일 민간경제협력 최전선에서 본 '2016년 한국과 일본 경제 전망'에 대해 발표한다.
이어 △이춘규 남서울대 초빙교수(한일 농업 비즈니스) △이정희 중앙대 교수(새해 한국 소비시장) △이원덕 국민대 교수(한일 정치외교 관계 전망) △최인한 한국경제신문 편집국 부국장 겸 한경닷컴 뉴스국장(기사로 보는 2016년 일본경제)이 강연자로 나선다.
이번 포럼에서는 한일 경제 현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위해 참석자들에게 충분한 질문시간을 제공했다. 포럼은 이날 오후 1시부터 6시까지 진행되며 사전 신청자들만 입장이 가능하다. 참가비는 일반인 2만 원, 학생은 무료이다.
이종윤 부회장은 "한국보다 앞서 고령화 사회를 맞아 시행착오를 거친 일본을 들여다보면서 우리 역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일본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