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美·ECB 통화정책 차별화, 신흥국 불안 등 우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은행은 국내 경제상황에 대해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미국과 유럽의 통화정책, 신흥국 경기 상황에 따른 불확실성이 상존해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한은은 10일 '최근의 국내외 경제동향·통화정책방향' 자료를 통해 "국내 경기는 소비심리 개선, 정부정책 등의 영향으로 점차 개선되겠으나 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대외 불확실성이 상존해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미국 중앙은행(Fed)과 유럽중앙은행(ECB)의 통화정책 차별화 등으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이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신흥국의 경제불안, 성장세 약화 등이 성장경로 상 불확실성으로 작용할 것이란 우려다.
이에 금융통화위원회는 "앞으로 성장세 회복이 이어지는 가운데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안정기조가 유지되도록 할 것"이라며 "금융안정에 유의해 통화정책을 운용해가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미국 중앙은행(Fed)의 통화정책과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의 경제상황 변화 등 해외 위험요인, 자본유출입 동향, 가계부채 증가세 등을 면밀히 점검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
한은은 10일 '최근의 국내외 경제동향·통화정책방향' 자료를 통해 "국내 경기는 소비심리 개선, 정부정책 등의 영향으로 점차 개선되겠으나 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대외 불확실성이 상존해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미국 중앙은행(Fed)과 유럽중앙은행(ECB)의 통화정책 차별화 등으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이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신흥국의 경제불안, 성장세 약화 등이 성장경로 상 불확실성으로 작용할 것이란 우려다.
이에 금융통화위원회는 "앞으로 성장세 회복이 이어지는 가운데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안정기조가 유지되도록 할 것"이라며 "금융안정에 유의해 통화정책을 운용해가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미국 중앙은행(Fed)의 통화정책과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의 경제상황 변화 등 해외 위험요인, 자본유출입 동향, 가계부채 증가세 등을 면밀히 점검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