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버리지 ETF는 오래 투자하면 안된다는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하! 그렇구나
일별로 급등락 잦을땐 손실
해외지수 ETF, 수수료 주의
상승장 단기투자 때만 활용을
일별로 급등락 잦을땐 손실
해외지수 ETF, 수수료 주의
상승장 단기투자 때만 활용을
올해 초부터 지수 움직임의 두 배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를 활용해 중국 주식에 투자했던 김모씨는 13% 안팎의 손실을 기록 중이다. 처음 투자했던 시점과 지수는 엇비슷하지만 ETF 가격이 투자 시점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게 김씨의 설명이다.
실제 지수와 ETF의 가격을 따져보자. 지난 11일 중국 CSI300지수(상하이 상장 대형주 지수) 종가는 3608.05였다. 같은 날 이 지수의 움직임의 두 배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인 ‘TIGER 차이나A레버리지(합성)’ 종가는 2만2750원을 기록했다. 김모씨가 처음 ETF에 투자했던 지난 3월13일(3617.65)의 종가는 2만6375원. 지수가 0.27% 떨어진 사이 ETF의 가격은 13.74% 주저앉았다.
정도에 차이는 있지만 코스피200지수의 두 배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상품도 똑같은 문제가 나타난다. 지난 11일 코스피200지수 종가는 240.35. 같은 날 ‘KODEX 레버리지’ 종가는 9660원이었다. 지수가 엇비슷했던 지난해 10월17일(239.84)엔 같은 상품의 가격이 9895원이었다. 지수가 소폭 올랐지만 ETF 가격은 주당 200원 이상 하락했다.
레버리지 ETF는 당일 지수 변화의 두 배를 추종하도록 설계가 돼 있다. 예컨대 1000이었던 지수가 하루 만에 10% 하락해 900이 되면 1만원이었던 ETF는 8000원이 된다. 10%의 두 배인 20%만큼 상품 가격이 내려간 것이다. 다음날 900이었던 지수가 다시 1000으로 되돌아왔다고 가정하자. 지수 상승률을 따지면 11.11%다. 8000원이었던 ETF는 11.11%의 두 배인 22.22% 올라 9777원이 된다.
지수엔 변화가 없지만 ETF 가격만 223원이 내려간 셈이다. 급등락이 반복되는 장에선 ETF의 가격만 떨어지는 효과가 날 수 있다. 투자자 입장에선 억울할 수 있지만 어쩔 수 없는 상품의 속성이다.
전문가들은 요즘처럼 지수대는 엇비슷하면서 급등락이 잦을 때 레버리지 ETF 투자자들이 골탕을 먹을 수 있다고 설명한다. 한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레버리지 ETF는 방향성이 분명한 장세에서 한 달 미만의 단기 투자를 할 때만 활용해야 한다”며 “일부 해외 지수 연계 레버리지 상품들은 보이지 않는 수수료까지 ETF 가격에 반영돼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
실제 지수와 ETF의 가격을 따져보자. 지난 11일 중국 CSI300지수(상하이 상장 대형주 지수) 종가는 3608.05였다. 같은 날 이 지수의 움직임의 두 배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인 ‘TIGER 차이나A레버리지(합성)’ 종가는 2만2750원을 기록했다. 김모씨가 처음 ETF에 투자했던 지난 3월13일(3617.65)의 종가는 2만6375원. 지수가 0.27% 떨어진 사이 ETF의 가격은 13.74% 주저앉았다.
정도에 차이는 있지만 코스피200지수의 두 배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상품도 똑같은 문제가 나타난다. 지난 11일 코스피200지수 종가는 240.35. 같은 날 ‘KODEX 레버리지’ 종가는 9660원이었다. 지수가 엇비슷했던 지난해 10월17일(239.84)엔 같은 상품의 가격이 9895원이었다. 지수가 소폭 올랐지만 ETF 가격은 주당 200원 이상 하락했다.
레버리지 ETF는 당일 지수 변화의 두 배를 추종하도록 설계가 돼 있다. 예컨대 1000이었던 지수가 하루 만에 10% 하락해 900이 되면 1만원이었던 ETF는 8000원이 된다. 10%의 두 배인 20%만큼 상품 가격이 내려간 것이다. 다음날 900이었던 지수가 다시 1000으로 되돌아왔다고 가정하자. 지수 상승률을 따지면 11.11%다. 8000원이었던 ETF는 11.11%의 두 배인 22.22% 올라 9777원이 된다.
지수엔 변화가 없지만 ETF 가격만 223원이 내려간 셈이다. 급등락이 반복되는 장에선 ETF의 가격만 떨어지는 효과가 날 수 있다. 투자자 입장에선 억울할 수 있지만 어쩔 수 없는 상품의 속성이다.
전문가들은 요즘처럼 지수대는 엇비슷하면서 급등락이 잦을 때 레버리지 ETF 투자자들이 골탕을 먹을 수 있다고 설명한다. 한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레버리지 ETF는 방향성이 분명한 장세에서 한 달 미만의 단기 투자를 할 때만 활용해야 한다”며 “일부 해외 지수 연계 레버리지 상품들은 보이지 않는 수수료까지 ETF 가격에 반영돼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