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광복·분단 70년을 마감하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남북 관계 진전 없이 맞이해 어느 때보다 안타까운 시기
이산가족 문제 해결 노력하고 남북 경협 활성화 위해 애써야
김성주 < 대한적십자사 총재 kimsungjoo@redcross.or.kr >
이산가족 문제 해결 노력하고 남북 경협 활성화 위해 애써야
김성주 < 대한적십자사 총재 kimsungjoo@redcross.or.kr >
광복 70주년, 분단 70년인 올해엔 남북 관계에서 뭔가 좋은 변화가 생기리란 예상이 많았다. 지난 10월 말 금강산에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성공적으로 이뤄졌고, 남북 적십자 회담도 잘 성사돼 여느 때보다 기대감이 높았다. 하지만 이달 11~12일 개성공단에서 진행된 남북 차관급 당국회담에서 합의가 도출되지 못하고, 차기 회담 일정조차 잡지 못한 건 매우 안타깝다.
이번 회담의 최대 관심사는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 해결과 금강산 관광 재개 여부였다. 하지만 양측은 입장 차를 좁히지 못했다. 분단 이전 한반도의 정체성을 생생히 기억하는 마지막 세대가 사라지기 전 이산가족 생존자 모두가 생사를 확인하고 상봉하는 중요한 기회가 마련되길 간절히 바랐다.
이산가족 고령화는 매우 심각하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중 80세 이상 비율이 53.4%에 달했다. 매년 4000여명의 이산가족이 세상을 떠난다. 더 이상 시간이 기다려주지 않는다.
그 어떤 사안도 이산가족 문제 해결에 걸림돌이 돼선 안 된다. 이를 풀어야만 경직된 남북 관계에 인도주의적 온기를 불어넣을 수 있고, 남북한의 동질성 회복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남북 관계의 개선과 발전은 새로운 경제성장 엔진으로 작동할 수 있다. 우리 기업들이 북한에 기술을 전수하고 투자하는 건 남북한 경제 상생모델을 구축하면서 미래 통일 비용을 크게 줄이는 일이다. 또 남북한 모든 사람에게 통일의 필요성을 알리고 긍정적인 여론 조성에도 기여할 것이다.
만약에 남북 관계가 개선되지 않는다면 한국의 글로벌 위상 강화와 대외 관계 증진을 위한 근본적 대도약에 한계가 생길 수밖에 없다. 북한도 남북 관계 변화가 없는 상황에선 미국 및 일본과의 관계를 진전시키기 어렵다. 주변 강대국의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이 커지는 상황에서 남북한의 독자적 입지가 좁아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남북 관계의 정체 상태가 장기화된다면 통일을 미리 준비했을 때보다 훨씬 많은 시간과 비용, 노력이 미래 세대에 큰 짐으로 남을 것이다. 광복과 분단 70년인 2015년이 저물어가는 시점에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비롯한 남북 관계의 조속한 정상화, 남북 경제의 미래지향적 상생 관계 구축이 하루 속히 이뤄지길 기대해본다.
김성주 < 대한적십자사 총재 kimsungjoo@redcross.or.kr >
이번 회담의 최대 관심사는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 해결과 금강산 관광 재개 여부였다. 하지만 양측은 입장 차를 좁히지 못했다. 분단 이전 한반도의 정체성을 생생히 기억하는 마지막 세대가 사라지기 전 이산가족 생존자 모두가 생사를 확인하고 상봉하는 중요한 기회가 마련되길 간절히 바랐다.
이산가족 고령화는 매우 심각하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중 80세 이상 비율이 53.4%에 달했다. 매년 4000여명의 이산가족이 세상을 떠난다. 더 이상 시간이 기다려주지 않는다.
그 어떤 사안도 이산가족 문제 해결에 걸림돌이 돼선 안 된다. 이를 풀어야만 경직된 남북 관계에 인도주의적 온기를 불어넣을 수 있고, 남북한의 동질성 회복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남북 관계의 개선과 발전은 새로운 경제성장 엔진으로 작동할 수 있다. 우리 기업들이 북한에 기술을 전수하고 투자하는 건 남북한 경제 상생모델을 구축하면서 미래 통일 비용을 크게 줄이는 일이다. 또 남북한 모든 사람에게 통일의 필요성을 알리고 긍정적인 여론 조성에도 기여할 것이다.
만약에 남북 관계가 개선되지 않는다면 한국의 글로벌 위상 강화와 대외 관계 증진을 위한 근본적 대도약에 한계가 생길 수밖에 없다. 북한도 남북 관계 변화가 없는 상황에선 미국 및 일본과의 관계를 진전시키기 어렵다. 주변 강대국의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이 커지는 상황에서 남북한의 독자적 입지가 좁아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남북 관계의 정체 상태가 장기화된다면 통일을 미리 준비했을 때보다 훨씬 많은 시간과 비용, 노력이 미래 세대에 큰 짐으로 남을 것이다. 광복과 분단 70년인 2015년이 저물어가는 시점에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비롯한 남북 관계의 조속한 정상화, 남북 경제의 미래지향적 상생 관계 구축이 하루 속히 이뤄지길 기대해본다.
김성주 < 대한적십자사 총재 kimsungjoo@redcross.or.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