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윤수 인천구치소 교위(49)는 지난해 면담 과정에서 수용자 김모씨의 딱한 사정을 알게 됐다. 김씨는 어린 시절 새어머니와의 불화로 집에서 쫓겨났으며 생활비를 벌기 위해 인터넷 중고거래 사기를 벌이다가 구속됐다.

김씨는 몇 달 뒤 출소하면 갈 곳이 없다며 걱정했고 양 교위는 후원자를 자처했다. 김씨가 지난해 7월 출소하자 양 교위는 월세방을 마련해주고 출소자정착지원금을 받을 수 있도록 주선했다. 자비를 털어 인천의 한 해수욕장 근처에 가게를 마련해주기도 했다. 양 교위의 지원으로 김씨는 삶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갖게 됐고 최근에는 대학 진학도 준비하고 있다. 김씨는 “사회복지학을 공부해 예전의 나처럼 방황하는 청소년을 보살피는 게 꿈”이라고 말했다.

성탄절을 밝히는 교정공무원의 미담 사례가 다수 알려져 감동을 주고 있다. 교도소·구치소에는 어려운 생활 환경에 있는 사람이 많다 보니 이들을 가까이서 지켜보는 교정공무원들이 돕는 사례가 상당하다. 내부 사정을 잘 아는 사람들은 “교정시설은 범죄를 저지른 사람들이 모인 곳이어서 언뜻 생각하면 내부 분위기가 살벌할 것 같지만 이는 오해”라고 말한다.

현종일 춘천교도소 교위(42)는 어린 두 딸을 키우며 어렵게 살다가 생계형 범죄를 저질러 수감된 방모씨(60)를 도왔다. 방씨가 수감된 사이 두 딸은 학교에서 자퇴를 했고 설상가상으로 살던 집에서도 나가야 하는 상황이 됐다. 딱한 사정을 들은 현 교위는 두 딸이 임대아파트로 이사할 수 있도록 주선했고 매달 임대료 10만원도 지원했다. 자매의 멘토 역할을 자처해 한 달에 2~3회 만나며 진로 및 고민 상담을 했다. 방씨는 현 교위의 도움으로 교도소에서 마음을 잡고 건설기계기관정비기능사 자격을 취득하는 등 모범 수용자로 생활하다가 최근 가석방 허가를 받았다.

경주교도소에서 직업훈련과 취·창업을 담당하는 최헌걸 교위(48)는 지난해 출소자 68명이 일자리를 가질 수 있도록 주선했다. 올해는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며 어머니와 둘이 살다가 성범죄로 수감된 이모씨 등 네 명에게 일자리를 마련해줬다. 이씨가 지난 4월 출소한 뒤 서울에서 특별한 직업 없이 허송세월하자 최 교위는 그를 경주로 내려오도록 설득했다. 경주에서 기업체 면접 등에 함께 다녔고 이씨는 마침내 취업에 성공했다. 최 교위는 “이씨가 성실하고 모범적으로 직장생활을 하고 있으며 사내에서 좋은 평판을 듣고 있다”고 했다.

외국인 수용자에게 도움을 준 교정공무원의 미담 사례도 있다. 노일주 대전교도소 교사(33)는 절도로 구속된 외국인 A씨가 출소하는 날 다른 곳으로 빠져 나쁜 마음을 먹지 않도록 그를 자신의 집으로 데리고 갔다. A씨가 자신의 집 바로 옆에 방을 잡도록 한 뒤 이사도 함께했다. 며칠 뒤에는 교도소 근처 음식점에서 일자리를 갖도록 도왔다. A씨의 쌍둥이 동생도 어려운 환경 탓에 범죄에 노출돼 수감됐다는 소식을 듣고 동생의 후원자 역할을 자처했다. 노 교사는 “A씨 동생이 얼마 전 좋은 여자를 만나 아이를 얻었다는 소식을 전해 와 선물을 보냈다”며 “지금은 이사를 갔지만 재사회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연락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병훈 기자 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