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내년부터 주스 군납 계약을 1개사가 아닌 여러 업체와 맺기로 했다.

국방부가 28일 내놓은 ‘2016년 군수혁신 추진계획’에 따르면 내년 1월1일부터 가격과 품질이 유사한 다수의 품목과 단가계약을 체결한뒤 장병의 선호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보급하는 ‘군수품 선택계약제도’가 처음 도입된다. 장병의 다양한 기호를 반영하기 위한 조치이다. 이 제도를 어떤 부대 단위로 적용할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내년에 선택계약제도를 시범적용할 군수품으로는 주스류가 선정됐다. 군납 주스는 1986년 이후 20여 년 동안 ‘맛스타’였다. 2012년 이후 다른 제품으로 바뀌었지만 방위사업청은 종전처럼 1개 업체와만 계약을 맺어왔다.

국방부는 민간 제품을 군수품으로 도입하는 ‘군수품 상용화’ 대상 품목도 내년에도 늘리기로 했다. 군은 현재 동계작전모와 드라이아이스 세척기, 기능성 마스크 등 70개 품목을 민간에서 사들이고 있다. 군이 최종 목표로 삼은 상용화 대상 품목은 2347개에 달한다.

국방부는 상업구매에 의한 수리부속 해외조달 성공률을 올해 69.6%에서 내년에는 75%로 높이고 향후 82% 수준으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국방부는 군의 무기체계 수리·정비 수요 예측도를 높이는 ‘소요산정 모델’을 내년에는 단거리 대공유도무기, 유도탄고속함, C-130 항공기 등으로 확대적용하기로 했다. 2017년 대상품목은 패트리어트 미사일과 이지스구축함(DDG)이다. 소요 산정 모델은 무기체계의 특성을 반영해 수리·정비 규모를 정확하게 예측, 불필요한 예산 사용을 막을수 있다.

국방부는 올해 육군 2군단을 대상으로 시범실시했던 ‘보급지원체계 최적화’ 사업을 내년에는 육군 1군사령부와 육군 1개 군단, 해군 1함대, 공군 10전투비행단, 해병대 서북도서부대까지 확대적용하기로 했다. 보급지원체계 최적화프로그램이란 군수사령부-군수지원사령부-사단-연대-부대로 이어지던 5단계 보급체계를 군수사-사단-부대로 단순화하는 사업이다. 시범사업 결과 군수사에서 부대까지 군수품이 이동하는 기간이 종전 34.2일에서 14.9일로 대폭 줄었다. 국방부는 “올해 조달, 물류, 수리부속운영 등 3개 분야에서 ‘군수 혁신’을 추진해 841억3000원의 예산을 절감했다”고 밝혔다.

최승욱 선임기자 swcho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