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28일 한국과 일본 정부가 발표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협상 타결 내용에 대해 “피해자들과 국민의 바람을 배신한 외교적 담합”이라고 비판했다.

정대협은 이날 협상 내용이 발표된 뒤 발표문을 통해 “일본 정부가 책임을 통감한다고 밝혔지만 군 위안부 범죄가 일본 정부와 군에 의해 조직적으로 자행된 범죄라는 점은 이번 합의에서 찾아보기 어렵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대협은 “일본 정부가 범죄의 주체라는 사실과 군 위안부 범죄의 불법성을 명확히 하지 않았고, 아베 신조 총리가 정부를 대표해 내각 총리로서 직접 사과해야 함에도 대독에 그쳤으며 사과의 대상도 너무 모호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가 표명한 조치를 착실히 실시한다는 것을 전제로 이 문제가 최종적 및 불가역적으로 해결될 것을 확인하고 주한 일본대사관 앞 ‘평화비(소녀상)’ 문제의 해결 방안을 찾을 것이며, 국제사회에서 상호 비난과 비판을 자제한다는 것”은 “되를 받고자 말로 줘버린 굴욕적 외교 행태”라고 비판했다.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은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일부 할머니는 미흡하더라도 정부의 뜻에 따르겠다고 밝혔으나, 다른 할머니들은 법적 배상이 빠진 합의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살아계신 위안부 피해 할머니는 46명이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