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병현 유안타증권 애널리스트 "中폭락, 경기우려·핫머니 이탈이 원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조병현 유안타증권 마켓 애널리스트는 7일 중국 증시의 폭락 사태에 대해 "위안화 환율 절하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와 외국인들의 핫머니(단기자금) 이탈이 증시의 변동성을 키운 탓"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나 "역외 위안화(CNH)와 위안화 현물(CNY) 간 스프레드(금리차)가 전날 고점을 형성한 이후 이날 줄어든 모습"이라며 "글로벌 투자은행(IB) 38곳 중 상위 75%가 내놓은 2016년 위안·달러 전망치의 평균(6.65위안)에도 근접해 있어 진정 국면에 들어갔다고 볼 수 있다"라고 내다봤다.
이날 장중에 발표된 위안화 고시환율은 달러당 6.5646위안으로 전날보다 0.51% 가치가 하락했다.
조 애널리스트는 "장중에 위안화 환율이 올라서 고시됐지만 역외환율의 경우 6.69위안을 넘어섰다가 추가 상승하지 않는 모습"이라며 "이는 시장에서도 경계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판단했다.
또 위안화와 원화의 관계에 대해선 "환율만 놓고 보면 위안화와 원화의 연동성이 강한 측면이 있지만 원·위안화의 변동성은 작년에도 플러스 마이너스 5% 내외로 크지 않았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위안화 약세로 인해 시장 내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진 것은 사실이지만 컨센서스(시장 기대치) 대로 외환보유고가 발표될 경우 위안화의 절하 속도도 진정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현영 한경닷컴 기자 jhy@hankyung.com
그러나 "역외 위안화(CNH)와 위안화 현물(CNY) 간 스프레드(금리차)가 전날 고점을 형성한 이후 이날 줄어든 모습"이라며 "글로벌 투자은행(IB) 38곳 중 상위 75%가 내놓은 2016년 위안·달러 전망치의 평균(6.65위안)에도 근접해 있어 진정 국면에 들어갔다고 볼 수 있다"라고 내다봤다.
이날 장중에 발표된 위안화 고시환율은 달러당 6.5646위안으로 전날보다 0.51% 가치가 하락했다.
조 애널리스트는 "장중에 위안화 환율이 올라서 고시됐지만 역외환율의 경우 6.69위안을 넘어섰다가 추가 상승하지 않는 모습"이라며 "이는 시장에서도 경계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판단했다.
또 위안화와 원화의 관계에 대해선 "환율만 놓고 보면 위안화와 원화의 연동성이 강한 측면이 있지만 원·위안화의 변동성은 작년에도 플러스 마이너스 5% 내외로 크지 않았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위안화 약세로 인해 시장 내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진 것은 사실이지만 컨센서스(시장 기대치) 대로 외환보유고가 발표될 경우 위안화의 절하 속도도 진정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현영 한경닷컴 기자 j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