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배 범죄차량 자동추적…'스마트 순찰차' 뜬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찰, 하반기부터 개발·보급
긴급수배 범죄 차량의 번호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도주 경로까지 분석해 추적하는 ‘한국형 스마트순찰차’가 올해부터 3년에 걸쳐 차례로 보급된다.
경찰청은 치안 수요에 맞게 차량 구조를 바꾸고 첨단 기능을 장착한 신형 스마트순찰차를 올해 하반기부터 개발·보급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를 위해 2018년까지 총 10억5000만원이 연구개발 예산으로 책정됐다.
올해 하반기에 도입되는 1단계 스마트순찰차는 범죄 차량 인식 기능과 적외선 카메라를 동시에 갖춘 ‘멀티캠’을 장착했다. 범죄 차량임을 확인한 뒤 수배자의 사진과 각종 정보를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갖췄다. 내년에 출시되는 2단계 스마트순찰차에는 차량에 탑승하지 않고도 무선으로 간단한 조종을 할 수 있는 스마트키가 도입된다. 충격흡수용 범퍼를 설치하고 뒷좌석 안전띠의 착용 방향도 조정해 현장 경찰관의 안전성도 높일 예정이다. 2018년 생산되는 3단계 스마트순찰차는 순찰차가 수집한 데이터에 빅데이터 기술을 접목한다. 수배 차량 검색시스템을 이용해 차량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 확인하는 한편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도주할 가능성이 높은지 예측하는 시스템도 사용한다.
윤희은 기자 soul@hankyung.com
경찰청은 치안 수요에 맞게 차량 구조를 바꾸고 첨단 기능을 장착한 신형 스마트순찰차를 올해 하반기부터 개발·보급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를 위해 2018년까지 총 10억5000만원이 연구개발 예산으로 책정됐다.
올해 하반기에 도입되는 1단계 스마트순찰차는 범죄 차량 인식 기능과 적외선 카메라를 동시에 갖춘 ‘멀티캠’을 장착했다. 범죄 차량임을 확인한 뒤 수배자의 사진과 각종 정보를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갖췄다. 내년에 출시되는 2단계 스마트순찰차에는 차량에 탑승하지 않고도 무선으로 간단한 조종을 할 수 있는 스마트키가 도입된다. 충격흡수용 범퍼를 설치하고 뒷좌석 안전띠의 착용 방향도 조정해 현장 경찰관의 안전성도 높일 예정이다. 2018년 생산되는 3단계 스마트순찰차는 순찰차가 수집한 데이터에 빅데이터 기술을 접목한다. 수배 차량 검색시스템을 이용해 차량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 확인하는 한편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도주할 가능성이 높은지 예측하는 시스템도 사용한다.
윤희은 기자 so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