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증시의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 지수 편입 논의차 헨리 페르난데즈 MSCI 회장이 이번 주 중반 방한한다.12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페르난데즈 회장은 15일 임종룡 금융위원장과 면담하는 등 우리 정부 당국자들과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들을 두루 만난다는 계획이다.페르난데즈 회장의 공식 방한은 지난 2012년 1월 MSCI 한국 법인 설립 때 이후 4년 만으로 알려졌다.정부와 MSCI는 지난해 8월 워킹그룹을 구성, 수차례 셔틀 회의와 화상 회의 등을 통해 한국 증시의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문제를 논의해왔다.페르난데즈 회장의 이번 방한을 두고 일부에서는 MSCI와 우리 정부 사이의 이견이 어느 정도 좁혀진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된다.국제통화기금(IMF) 같은 국제기구나 FTSE·S&P·다우존스 지수는 한국을 선진국으로 보고 있지만 미국 투자가들에게 영향력이 큰 MSCI는 한국을 여전히 신흥시장으로 분류하고 있다.MSCI는 외국인 투자등록제도(ID 제도)의 경직성과 제한적인 원화 환전 문제를 주로 문제 삼고 있다.페르난데즈 회장은 2012년 방한 당시 "한국 증시는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 문제가 될 만한 것들이 있다"며 그 예로 외국 통화로 한국 시장에 투자할 때 겪는 어려움, 외국인의 국내 시장 투자를 위한 등록제인 ID 제도의 비효율성 등을 직접 거론한 바 있다.MSCI는 2009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을 선진국 지수 편입 검토 대상에 올렸지만 결과적으로 편입하지 않았고 지난해에는 아예 편입 검토 대상에서도 뺀 상태다.이런 가운데 정부는 외국인 통합결제계좌(옴니버스 어카운트) 허용을 골자로 한 ID 개편 방향을 페르난데즈 회장 측에 설명하고 이달 말 구체적인 방안을 공식 발표한다는 계획이다.금융당국 관계자는 "외국인들은 지금도 통합 계좌로 주문은 넣을 수 있지만 결제는 각각의 계좌에서 해야 했다"며 "향후 금융감독원의 외국인 주식 관리 시스템을 고쳐 이르면 1분기에는 통합결제계좌 제도를 시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정부는 그러나 외환 시장 안정성 등을 고려할 때 MSCI가 요구하는 역외 원화 시장 개설 문제는 시간을 두고 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다른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달 발표될 내용에 역외 원화 시장 개설 문제는 포함돼 있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최근 중국 증시 급락 사태 등으로 세계 증시 변동성이 확대된 가운데 정부는 외국인 자금 수급 환경 개선 차원에서 한국 증시의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을 위한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온라인뉴스팀]한국경제TV 핫뉴스ㆍ새 농협중앙회장 김병원…연봉 7억원·막강 권한 행사ㆍ오승환, 131억원 받고 MLB 간다…불펜 경쟁할 3명은 누구?ㆍ서울대 출신이 개발한 "하루 30분 영어" 화제!ㆍ나경원 의원, 재산 얼만지 보니…아파트에 콘도 회원권까지!ㆍ치주염, 구취 막아주는 `이것` 불티 판매ⓒ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