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년전 배움의 기회 줬던 곳, 폴리텍대학교에 은혜 갚아야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교수된 기술인 세 명
한국폴리텍대가 최근 모교 졸업생 세 명을 교수로 채용했다. 전문대와 같은 학력을 인정받는 산업학사 과정을 주로 운영하는 폴리텍대에서 정규대학 출신이 아닌 교수를 임용한 것은 드문 일이다.
화제의 주인공은 임병철 화성캠퍼스 자동차과 교수(48·왼쪽)와 이주호 서울정수캠퍼스 자동차과 교수(48·오른쪽), 이협건 서울강서캠퍼스 컴퓨터정보과 교수(32)다. 이들은 “그 옛날 배움의 기회를 준 모교에 은혜를 갚고 싶었다”고 말했다.
임 교수는 자동차정비 분야 경력 26년의 현장 기술인이다. 1987년 고교 졸업 후 경기 성남에 있는 현대·기아자동차 협력 정비업체인 동양공업사에 입사했다. 체계적인 기술 교육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입사한 데다 외환위기가 닥친 1997년 기아차가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회사가 어려워져 임금까지 삭감됐다. 제대로 된 교육을 받아야겠다고 생각한 그가 문을 두드린 곳은 인천기능대학(현 폴리텍 인천캠퍼스) 야간과정이었다. 줄어든 월급봉투에 성남에서 인천까지 통학하는 일이 쉽지 않았지만 꿋꿋이 견뎌낼 수 있었던 이유는 당시 교수들이 보여준 열정 때문이었다. 고교 졸업 후 10년 만에 배움의 즐거움을 알게 됐다는 임 교수는 이후 교수가 되겠다는 일념으로 자동차 엔진분야 석사학위와 자동차정비 기능장 자격을 따고 2014년에는 자동차용 펌프 시험장치 특허도 취득했다.
이 교수도 차체수리도장 경력 25년의 베테랑 기술자다. 군 제대 후 어깨너머로 자동차정비 기술을 익힌 이 교수는 마흔이던 2007년에 폴리텍 서울정수캠퍼스에 입학했다. 졸업 후 내친김에 석사학위와 자동차정비 관련 특허를 취득했다. 교수의 꿈을 꾸게 한 것은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해온 SK그룹의 사회공헌 프로그램 ‘해피카스쿨’ 강의였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
화제의 주인공은 임병철 화성캠퍼스 자동차과 교수(48·왼쪽)와 이주호 서울정수캠퍼스 자동차과 교수(48·오른쪽), 이협건 서울강서캠퍼스 컴퓨터정보과 교수(32)다. 이들은 “그 옛날 배움의 기회를 준 모교에 은혜를 갚고 싶었다”고 말했다.
임 교수는 자동차정비 분야 경력 26년의 현장 기술인이다. 1987년 고교 졸업 후 경기 성남에 있는 현대·기아자동차 협력 정비업체인 동양공업사에 입사했다. 체계적인 기술 교육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입사한 데다 외환위기가 닥친 1997년 기아차가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회사가 어려워져 임금까지 삭감됐다. 제대로 된 교육을 받아야겠다고 생각한 그가 문을 두드린 곳은 인천기능대학(현 폴리텍 인천캠퍼스) 야간과정이었다. 줄어든 월급봉투에 성남에서 인천까지 통학하는 일이 쉽지 않았지만 꿋꿋이 견뎌낼 수 있었던 이유는 당시 교수들이 보여준 열정 때문이었다. 고교 졸업 후 10년 만에 배움의 즐거움을 알게 됐다는 임 교수는 이후 교수가 되겠다는 일념으로 자동차 엔진분야 석사학위와 자동차정비 기능장 자격을 따고 2014년에는 자동차용 펌프 시험장치 특허도 취득했다.
이 교수도 차체수리도장 경력 25년의 베테랑 기술자다. 군 제대 후 어깨너머로 자동차정비 기술을 익힌 이 교수는 마흔이던 2007년에 폴리텍 서울정수캠퍼스에 입학했다. 졸업 후 내친김에 석사학위와 자동차정비 관련 특허를 취득했다. 교수의 꿈을 꾸게 한 것은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해온 SK그룹의 사회공헌 프로그램 ‘해피카스쿨’ 강의였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