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업무보고]수출 품목 다변화…4조8000억 소비재·서비스 무역금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리나라 수출 정책이 양적 성장과 함께 질적 변화에도 무게를 둔다. 정부는 중후장대형 제조업 중심의 수출을 한 단계 도약시키기 위해 올해 소비재와 서비스 무역금융에만 4조8000억원이 지원키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세종컨벤션센터에서 박근혜 대통령에게 이 같은 내용의 2016년 부처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산업부는 이번 업무 보고의 주제를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등을 활용한 수출회복'으로 잡았다. 수출 시장과 품목, 주체, 방식, 지원체계를 전면적으로 혁신해 양적 확대는 물론 질적 혁신까지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계획이다.
수출 품목 다변화를 위해 소비재와 서비스에 대한 무역금융 지원 금액 규모를 올해 4조8000억원으로 확대키로 했다.
연구개발(R&D), 마케팅, 인력 지원 등을 통해 화장품, 패션의류, 생활·유아용품, 의약품 등 유망 소비재를 신수출 동력으로 육성해 나간다. 보건·의료 같은 서비스는 물론 기술, 브랜드, 문화콘텐츠 등 비제조 분야 수출 지원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현지 수출 시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시장 진출 전략도 수립한다.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 시장과는 고부가가치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고 이란, 베트남, 멕시코 등 유망 신흥시장은 개별 성장동력을 활용한다.
이와 함꼐 지난달 20일 발효한 한중 FTA를 활용해 중국 내수시장에 진출하는 기업을 본격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대중 수출기업 중 FTA 활용 경험이 없는 2만5000개사를 대상으로 정보제공, 교육, 컨설팅 등을 집중 지원한다.
수출 중소·중견기업에는 인력, 세제, 금융, R&D 등 정부 지원을 집중시킨다.
3000명의 수출전문가가 수출계약 전 과정을 밀착 지원하고 내수기업의 해외 전시회 참가 비용 지원 폭도 늘린다. 중소기업 정책자금과 무역금융 지원을 확대하고 해외진출형 R&D 과제에는 6570억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수입부가세 납부유예 대상도 수출액 100억원 이상의 중소기업이나 수출액 비중 50% 이상의 중견기업으로 확대한다. 기존에는 수출액 비중이 30% 이상인 중소기업만 혜택을 봤다. 종합·전문무역상사가 중소기업 제품을 수출할 때 무역보험료를 25% 할인해주는 제도도 도입한다.
이같은 지원책 등을 통해 수출 경험이 없던 내수 중소기업 3000개에 수출 활로를 새롭게 열어줄 계획이다.
정부는 온라인 해외 판매를 활성화해 올해 전자상거래 수출 1조5000억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잡았다.
글로벌 온라인몰 등록부터 배송까지 온라인 해외 판매 지원 혜택을 누리는 중소기업 수를 지난해 1504개사에서 올해 2000개사로 늘린다.
중소 온라인 쇼핑몰의 홍보 지원에도 50억원을 투입한다. 중국 현지 보세창고 5개를 신규로 확보하고 전자상거래 수출신고 자동화 시스템도 구축할 계획이다.
주형환 산업부 장관은 "수출 회복을 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며 "연초부터 수출진흥 활동을 집중적으로 전개해서 수출을 회복하고 경제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세종컨벤션센터에서 박근혜 대통령에게 이 같은 내용의 2016년 부처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산업부는 이번 업무 보고의 주제를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등을 활용한 수출회복'으로 잡았다. 수출 시장과 품목, 주체, 방식, 지원체계를 전면적으로 혁신해 양적 확대는 물론 질적 혁신까지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계획이다.
수출 품목 다변화를 위해 소비재와 서비스에 대한 무역금융 지원 금액 규모를 올해 4조8000억원으로 확대키로 했다.
연구개발(R&D), 마케팅, 인력 지원 등을 통해 화장품, 패션의류, 생활·유아용품, 의약품 등 유망 소비재를 신수출 동력으로 육성해 나간다. 보건·의료 같은 서비스는 물론 기술, 브랜드, 문화콘텐츠 등 비제조 분야 수출 지원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현지 수출 시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시장 진출 전략도 수립한다.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 시장과는 고부가가치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고 이란, 베트남, 멕시코 등 유망 신흥시장은 개별 성장동력을 활용한다.
이와 함꼐 지난달 20일 발효한 한중 FTA를 활용해 중국 내수시장에 진출하는 기업을 본격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대중 수출기업 중 FTA 활용 경험이 없는 2만5000개사를 대상으로 정보제공, 교육, 컨설팅 등을 집중 지원한다.
수출 중소·중견기업에는 인력, 세제, 금융, R&D 등 정부 지원을 집중시킨다.
3000명의 수출전문가가 수출계약 전 과정을 밀착 지원하고 내수기업의 해외 전시회 참가 비용 지원 폭도 늘린다. 중소기업 정책자금과 무역금융 지원을 확대하고 해외진출형 R&D 과제에는 6570억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수입부가세 납부유예 대상도 수출액 100억원 이상의 중소기업이나 수출액 비중 50% 이상의 중견기업으로 확대한다. 기존에는 수출액 비중이 30% 이상인 중소기업만 혜택을 봤다. 종합·전문무역상사가 중소기업 제품을 수출할 때 무역보험료를 25% 할인해주는 제도도 도입한다.
이같은 지원책 등을 통해 수출 경험이 없던 내수 중소기업 3000개에 수출 활로를 새롭게 열어줄 계획이다.
정부는 온라인 해외 판매를 활성화해 올해 전자상거래 수출 1조5000억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잡았다.
글로벌 온라인몰 등록부터 배송까지 온라인 해외 판매 지원 혜택을 누리는 중소기업 수를 지난해 1504개사에서 올해 2000개사로 늘린다.
중소 온라인 쇼핑몰의 홍보 지원에도 50억원을 투입한다. 중국 현지 보세창고 5개를 신규로 확보하고 전자상거래 수출신고 자동화 시스템도 구축할 계획이다.
주형환 산업부 장관은 "수출 회복을 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며 "연초부터 수출진흥 활동을 집중적으로 전개해서 수출을 회복하고 경제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