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물려주는 것보다 노후 생계비가 더 급해"…주택연금 가입자, 1년 만에 28% 급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9년 만에 3만명 돌파 눈앞
"자식 도움 받기 힘들 것"…인식 확산에 가입 증가세
집값 상승 기대 점차 줄어…9억 초과 주택도 대상 검토
"자식 도움 받기 힘들 것"…인식 확산에 가입 증가세
집값 상승 기대 점차 줄어…9억 초과 주택도 대상 검토
3년 전 마땅한 노후대책 없이 은퇴한 A씨는 지난해 만 60세가 되자마자 주택연금에 가입했다. 자식에겐 “집을 물려주기 힘들다”고 미리 얘기했다. 상속하고 싶은 마음도 없지 않았지만 당장 자신의 노후가 막막했다. 5억원짜리 아파트를 담보로 맡긴 A씨는 평생 월 113만8000원의 연금을 받는다.
살고 있는 집을 담보로 다달이 연금을 받는 주택연금 가입자가 3만명을 곧 넘어설 전망이다. 자녀에게 집을 물려주는 대신 노후생활을 위한 자산으로 활용하려는 노년층이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21일 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주택연금 가입자는 지난 15일까지 2만9406명(누적 기준)으로 집계됐다. 이르면 다음달 초 가입자 수가 3만명을 돌파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주택금융공사가 2007년 7월 내놓은 주택연금은 보유 중인 집을 담보로 매월 연금을 지급받는 상품이다. 가입 자격은 만 60세 이상이며, 가입 기간(연금 수령 기간)은 10~30년, 종신형 등 다양하다. 매월 받는 연금액은 집값과 비례한다. 만 70세인 주택 소유자가 3억원짜리 집을 담보로 주택연금에 가입하면 평생 동안 매월 98만6000원을 받을 수 있다. 주택연금은 최근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에는 6486명이 가입해 전년(5039명)보다 약 28% 늘었다. 올 들어서도 지난 15일까지 286명이 가입해 지난해 같은 기간(139명)보다 100% 이상 증가했다. 이처럼 주택연금 가입자가 늘어나는 것은 이른바 ‘무전장수(無錢長壽)’ 시대를 대비하려는 수요가 많아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손진국 주택금융공사 주택연금부 팀장은 “평균수명이 늘면서 노후 준비가 ‘발등의 불’이 됐고 더 이상 자식에게 손을 벌리기 어렵다는 부모 세대가 늘고 있다”며 “한국인 대다수의 자산이 주택에 집중돼 있는 상황도 주택연금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주택금융연구소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이런 인식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연구소가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60~84세 고령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자녀에게 집을 물려주지 않겠다’는 응답은 2010년 21%에서 2012년 27%, 2014년 34%로 꾸준히 증가했다.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심리가 예전같지 않다는 점도 주택연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이유 중 하나다. 주택연금에 가입한 뒤 집값이 오르면 그만큼 손해를 보는데, 이를 감안하고도 가입 수요가 꾸준하다는 점에서다.
정부는 주택연금이 내수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앞으로 정책적 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다. 주택연금 수요 실태조사에 따르면 주택연금 월 지급액의 한계소비성향은 0.80으로 근로·사업소득(0.68), 타 연금소득(0.72)보다 높다. 주택연금 가입자가 100만원 중 80만원을 소비하는 데 비해, 일을 해서 100만원을 벌면 68만원을 소비한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주택금융공사는 주택연금을 확대하기 위해 법 개정 등을 추진 중이다. 가입자 소유 주택 가격을 ‘9억원 이하’로 제한한 법을 개정해 ‘9억원 초과’ 주택 소유자도 주택연금에 가입할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주택 소유자가 만 60세 이상인 경우’에만 가입할 수 있는 자격 조건도 완화해 ‘부부 중 한 명만 60세 이상’이면 소유권 이전 없이 가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박한신 기자 hanshin@hankyung.com
살고 있는 집을 담보로 다달이 연금을 받는 주택연금 가입자가 3만명을 곧 넘어설 전망이다. 자녀에게 집을 물려주는 대신 노후생활을 위한 자산으로 활용하려는 노년층이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21일 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주택연금 가입자는 지난 15일까지 2만9406명(누적 기준)으로 집계됐다. 이르면 다음달 초 가입자 수가 3만명을 돌파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주택금융공사가 2007년 7월 내놓은 주택연금은 보유 중인 집을 담보로 매월 연금을 지급받는 상품이다. 가입 자격은 만 60세 이상이며, 가입 기간(연금 수령 기간)은 10~30년, 종신형 등 다양하다. 매월 받는 연금액은 집값과 비례한다. 만 70세인 주택 소유자가 3억원짜리 집을 담보로 주택연금에 가입하면 평생 동안 매월 98만6000원을 받을 수 있다. 주택연금은 최근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에는 6486명이 가입해 전년(5039명)보다 약 28% 늘었다. 올 들어서도 지난 15일까지 286명이 가입해 지난해 같은 기간(139명)보다 100% 이상 증가했다. 이처럼 주택연금 가입자가 늘어나는 것은 이른바 ‘무전장수(無錢長壽)’ 시대를 대비하려는 수요가 많아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손진국 주택금융공사 주택연금부 팀장은 “평균수명이 늘면서 노후 준비가 ‘발등의 불’이 됐고 더 이상 자식에게 손을 벌리기 어렵다는 부모 세대가 늘고 있다”며 “한국인 대다수의 자산이 주택에 집중돼 있는 상황도 주택연금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주택금융연구소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이런 인식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연구소가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60~84세 고령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자녀에게 집을 물려주지 않겠다’는 응답은 2010년 21%에서 2012년 27%, 2014년 34%로 꾸준히 증가했다.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심리가 예전같지 않다는 점도 주택연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이유 중 하나다. 주택연금에 가입한 뒤 집값이 오르면 그만큼 손해를 보는데, 이를 감안하고도 가입 수요가 꾸준하다는 점에서다.
정부는 주택연금이 내수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앞으로 정책적 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다. 주택연금 수요 실태조사에 따르면 주택연금 월 지급액의 한계소비성향은 0.80으로 근로·사업소득(0.68), 타 연금소득(0.72)보다 높다. 주택연금 가입자가 100만원 중 80만원을 소비하는 데 비해, 일을 해서 100만원을 벌면 68만원을 소비한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주택금융공사는 주택연금을 확대하기 위해 법 개정 등을 추진 중이다. 가입자 소유 주택 가격을 ‘9억원 이하’로 제한한 법을 개정해 ‘9억원 초과’ 주택 소유자도 주택연금에 가입할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주택 소유자가 만 60세 이상인 경우’에만 가입할 수 있는 자격 조건도 완화해 ‘부부 중 한 명만 60세 이상’이면 소유권 이전 없이 가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박한신 기자 hansh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