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병원 "1분1초 다급한 심장병, 한 공간에서 통합진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문병원 전성시대 (1) 국내 첫 심장전문 세종병원
박진식 이사장, 34년째 날마다 '의료진 회의'
꾸준한 연구로 의료수준 높여 베트남·중동에 병원 건립할 것
박진식 이사장, 34년째 날마다 '의료진 회의'
꾸준한 연구로 의료수준 높여 베트남·중동에 병원 건립할 것

1981년 당시 한양대 의대 교수였던 박영관 혜원의료재단 세종병원 회장이 서울대병원 부설 병원연구소를 찾았을 때다.
박 회장은 자신 있었다. 독일 뒤셀도르프 의과대학에서 심장 수술 기술을 배워왔다. 수술받지 못한 선천성 심장병 환자가 국내에만 2만명이 넘었다. 생각이 같은 의사들을 모았다. 1982년 8월 경기 부천에 국내 첫 심장전문병원 문을 열었다. 환자가 몰려들었다. 3년 만에 병상을 100개에서 300개로 늘렸다.
34년이 지난 지금 세종병원은 여전히 국내에서 유일한 심장전문병원이다. 박 회장의 장남인 박진식 세종병원 이사장(사진)은 “심장 분야에서 국내 최고 수준이라고 자신한다”며 “뇌혈관 분야도 강화해 2020년까지 아시아 최고 심뇌혈관센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이사장은 “환자 입장에서 어떤 치료가 가장 좋을지 사심 없이 토론하는 자리”라며 “서로 환자를 데려가겠다고 욕심내지 않는 것이 30여년간 만들어진 문화”라고 설명했다.
연구하고 지식을 공유하는 문화도 34년째 그대로다. 개원 초기 이 병원 의사들은 사망한 환자의 시신을 부검하며 심장병을 공부했다. 최근에는 각종 세미나와 논문이 이를 대신하고 있다. 박 이사장은 “좋은 논문을 발표하면 상을 주고 연구비도 지원한다”며 “이 같은 노력은 한국 의료 수준을 높이는 데도 도움되는 일”이라고 말했다.
세종병원은 이에 최적화돼 있다. 한 층에 수술실, 중환자실, 혈관조영실이 모두 있다. 공간을 분리해 써야 하는 대학병원보다 환자 치료에 유리하다. 320병상 규모에 직원이 800명이다. 한 병상당 직원이 한 명 정도인 다른 병원의 2.5배 규모다. 그만큼 환자를 꼼꼼히 볼 수 있다.
한 해 4000~5000명의 외국인 환자가 이 병원을 찾는다. 더 많은 해외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지난해 자회사를 설립해 카자흐스탄 알마티에 클리닉을 열었다. 베트남, 중동, 러시아 등에도 병원을 지을 계획이다. 내년 3월 인천 계양구에도 새 병원이 문을 연다. 병원 내 안과는 한길안과병원에 맡겼다. 전문병원이 한 병원에 모여 각자의 파트를 진료하는 것이다. 의료계에서 처음 이뤄진 시도다.
부천=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