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서 발 묶인 승객 6만명 어떻게…항공업계, 특별기·대형기 투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먼저 결항된 승객부터 좌석배정
하루이틀내 승객들 탑승 어려워
결항 인한 피해보상도 어려워
하루이틀내 승객들 탑승 어려워
결항 인한 피해보상도 어려워
제주공항의 항공편이 무더기로 결항하면서 승객 8만9000여명의 발이 묶였다. 항공사들은 특별기 등을 투입할 예정이지만 이들을 모두 태워 나르는 데는 최소 2~3일은 걸릴 전망이다. 24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제주공항의 운항이 재개되면 특별기나 대형기 등을 투입해 좌석 공급을 늘릴 예정이다.
대한항공은 제주공항에서 출발하는 국내선 항공기 총 88편과 승객 1만4342명(25일 오전 9시 기준)이 결항 피해를 본 것으로 자체 집계했다. 대한항공은 25일 항공기 예약자를 가장 우선적으로 탑승시키고, 결항으로 예약이 취소된 승객에게는 휴대폰 메시지를 통해 탑승시간 등을 안내할 계획이다. 좌석은 결항편 순서대로 배정할 예정이다.
아시아나항공도 지난 23~24일 결항으로 떠나지 못한 승객부터 정기편 잔여 좌석과 특별기 및 대형기의 추가 좌석을 배정하기로 했다. 최소 출발 5시간 전에 승객에게 문자메시지로 공지할 예정이다. 제주항공 등 저비용항공사(LCC)들도 우선 결항 처리된 승객 순으로 좌석을 준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한 항공사 관계자는 “25일부터는 빈 좌석이 많은 평일이기 때문에 특별기까지 투입되면 승객 운송에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승객을 태워 나르는 데는 최소 2~3일 정도 걸릴 전망이다. 예정대로 25일 오후 8시 항공기 운항이 시작된다고 하더라도, 항공기에 붙은 얼음 제거 등으로 실제 이륙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 또 제주공항의 수용 능력 때문에 특별기 등을 통해 좌석을 늘리는 데도 한계가 있다. 결항으로 인한 피해보상은 어려울 전망이다. 항공사 관계자는 “천재지변에 의한 결항이기 때문에 승객에 대한 숙소 제공 및 보상금 지급 등의 조치는 어렵다”고 말했다.
서욱진 기자 venture@hankyung.com
대한항공은 제주공항에서 출발하는 국내선 항공기 총 88편과 승객 1만4342명(25일 오전 9시 기준)이 결항 피해를 본 것으로 자체 집계했다. 대한항공은 25일 항공기 예약자를 가장 우선적으로 탑승시키고, 결항으로 예약이 취소된 승객에게는 휴대폰 메시지를 통해 탑승시간 등을 안내할 계획이다. 좌석은 결항편 순서대로 배정할 예정이다.
아시아나항공도 지난 23~24일 결항으로 떠나지 못한 승객부터 정기편 잔여 좌석과 특별기 및 대형기의 추가 좌석을 배정하기로 했다. 최소 출발 5시간 전에 승객에게 문자메시지로 공지할 예정이다. 제주항공 등 저비용항공사(LCC)들도 우선 결항 처리된 승객 순으로 좌석을 준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한 항공사 관계자는 “25일부터는 빈 좌석이 많은 평일이기 때문에 특별기까지 투입되면 승객 운송에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승객을 태워 나르는 데는 최소 2~3일 정도 걸릴 전망이다. 예정대로 25일 오후 8시 항공기 운항이 시작된다고 하더라도, 항공기에 붙은 얼음 제거 등으로 실제 이륙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 또 제주공항의 수용 능력 때문에 특별기 등을 통해 좌석을 늘리는 데도 한계가 있다. 결항으로 인한 피해보상은 어려울 전망이다. 항공사 관계자는 “천재지변에 의한 결항이기 때문에 승객에 대한 숙소 제공 및 보상금 지급 등의 조치는 어렵다”고 말했다.
서욱진 기자 ventu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