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은행권이 이란과의 금융거래를 늘리기 위해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지난 17일 이란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해제되면서 우리나라 기업들은 자유롭게 이란을 상대로 한 무역과 투자를 할 수 있게 됐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획재정부와 외교부 등 정부와 우리·기업은행 등 금융권 과·차장급 실무자들이 오는 30일부터 사흘 일정으로 이란을 방문한다.

이들은 이란 중앙은행 관계자들을 만나 기존 원화 결제 시스템 유지, 유로화 등 다른 국제통화를 이용한 결제 확대 문제 등을 협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와 금융권이 이란을 찾아 실무적인 논의를 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러나 이란과의 금융거래 때 적용되던 한국은행 허가제는 즉각 중단됐으나 미국의 제재법령 때문에 달러화 사용은 계속 금지되고 있다.

지금은 우리은행과 기업은행을 통한 원화 결제로 이란과 금융거래를 할 수 있다.

2010년 제재 당시 우리 정부는 보완조치로 두 은행에 이란 중앙은행 명의의 원화계좌를 개설해 대이란 수출입 대금을 결제하도록 했다.

정부는 그동안 활용해온 원화 결제 체제를 유지하면서 유로화 등 다른 통화로도 이란과 결제할 수 있도록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란과의 금융거래를 활성화하려는 정부의 노력에 발맞춰 시중은행들도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다만 아직 이란 현지 금융시장으로의 직접 진출에 대해서는 조심스러운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이란은 감독당국의 자본금 규제 장벽이 낮아 진출 자체에 어려움은 없지만 시장성이 있는지에 대해선 더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