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의 자원 개발 자회사 SK어스온이 베트남 해상에서 원유를 시험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3일 발표했다. 광구 운영권자인 미국 머피 오일은 베트남 호찌민에서 남동쪽으로 64㎞ 떨어진 광구(15-2/17)의 탐사정 ‘황금바다사자 구조’에서 원유 시험생산에 성공했다고 지난달 31일 발표했다. 이 광구는 하루 최대 1만 배럴의 원유를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SK어스온은 2019년부터 이 광구에서 머피 오일, 베트남 국영 석유 회사 PVEP와 탐사를 진행하고 있다. 지분율은 머피 오일이 40%, PVEP 35%, SK어스온이 25%다. 이 광구는 지난달 8일 미국 머피 오일이 탐사 시추에서 112m 두께의 유층(油層)을 발견한 곳이다. 시험 생산한 원유는 불순물이 적고 정제가 용이한 경질 원유다. 황 함유량이 낮아 상품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SK어스온 관계자는 "유전 개발과 생산 가능 규모 등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한 시험 생산에서 성과가 나온 것"이라며 "가스보다 원유의 비중이 더 높아 수익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베트남에선 원유가 가스보다 판매 단가가 높아 원유 생산 비율이 높아야 수익성이 좋은 유전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SK이노베이션이 탐사, 생산에 성공한 중국 광구( 17/03)는 2018년 탐사정 시추 당시 심도 2014m에서 34.8m 두께의 유층을 발견했다. 시험생산 과정에서 하루 최대 약 4000배럴의 원유를 추출하는 데 성공했다. 이 광구는 2023년 9월 생산을 개시한 이후 지난해 11월 기준 누적 생산량 1000만 배럴을 돌파했다. 시험 생산량보다 실제 생산량이 많았다. 머피 오일은 이 광구에 대한 추가적인 평가·분석을 위해
2024 회계연도 총세입부·총세출부 마감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지난해에는 30조원 가량의 ‘세수 펑크’가 발생했을 전망이다. 2021년과 2022년의 세수 초과, 그리고 2023년과 2024년 세수 결손이 이어지면서 정부가 4년 연속 세수예측 실패라는 오명을 쓰게 됐다.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오는 10일 지난해 세입·세출 실적이 확정된다. 이날 2024 회계연도 세수 실적, 예산 집행액, 이월·불용규모 등을 확정지을 예정이다.지난해 10월 기재부는 세수 재추계 결과에서 예산(367조3000억원) 대비 29조6000억원의 세금이 덜 걷혔을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실제 세수 결손 규모는 30조원을 웃돌 것이 확실시된다. 가장 큰 요인은 법인세다. 2023년 상장사의 영업이익(46조9000억원)이 전년(84조원) 대비 반토막 나면서 법인세 수입이 급감했다. 여기에 고금리, 연말 탄핵이 겹치면서 경제 심리가 위축됐고 설비투자가 늘면서 환급(약 7000억원)을 많이 받아간 영향으로 풀이된다.세수 파악은 정부 예산짜기의 기본이지만 기재부는 4년 연속 세수예측에 실패하고 있다.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61조4000억원, 51조원9000억원 규모의 세수초과가 발생했다. 세수초과는 의도치 않은 지출 편성, 즉 ‘방만재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2023년과 2024년에는 반대로 세수결손이 발생했다. 각각 56조원, 30조원 규모다. 세수결손은 적자국채 발행이나 예산 불용(사용하지 않음), 기금 끌어다쓰기로 연결된다. 지방에 내려가야 할 교부금이 줄기도 한다. 4년 연속 수십조원 규모의 재원이 제때 쓰여야 할 곳에 쓰이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기재부 관계자는 “지난해 12월 실적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법인세
세계 최대 항공기 제조사인 미국 보잉사의 한국법인(보잉코리아)는 3일 윌 셰이퍼 전 보잉재팬 사장을 신임 사장으로 선임했다.셰이퍼 신임 사장은 미국 해군사관학교와 하버드 경영대학원을 졸업했다. 미국 해군 해상초계기 P-3 조종사로 10년간 복무한 뒤 소령으로 전역했다.2013년 보잉에 합류한 이후 제품 개발 공급망 디렉터와 원자재 및 표준 규격 부분 공급업체 관리 디렉터 등을 맡았다.2019년부터는 보잉재팬 사장에 이어 보잉 글로벌 서비스(BGS) 부문 성장 계획 부사장을 지냈다.셰이퍼 사장은 보잉코리아 사장직 외에도 보잉의 글로벌화 및 시장 개발 부사장으로서 국가별 전략 개발과 글로벌 지정학적 위험 평가 및 신규 성장 기회 발굴을 주도할 예정이다.셰이퍼 사장은 "보잉코리아는 성장하는 고객 기반과 공급업체 및 파트너 생태계와 함께 세계적 수준의 연구개발 시설을 운영 중이며 앞으로 더 많은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