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현주의 슈퍼리치 레시피’는 양현주 한국경제신문 기자가 매주 목요일 한경닷컴 사이트에 게재하는 ‘회원 전용’ 재테크 전문 콘텐츠입니다. 한경닷컴 회원으로 가입하시면 더 많은 콘텐츠를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올해 고액 자산가들의 포트폴리오에서 메자닌펀드(주식관련사채), 사모대출펀드(PDF) 등 대체자산 비중이 기존 20% 수준에서 30~40%까지 늘어날 전망입니다"오선미 삼성증권 SNI패밀리오피스센터1지점 지점장(사진)은 지난 23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시장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국면에는 주식, 채권 등 전통 자산뿐만 아니라 대체자산까지 다룰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이 필요하다"며 "결국 핵심은 자산배분에 있다"고 말했다.오 지점장은 삼성증권 전체 프라이빗뱅커(PB) 중 상위 4% 이내 역량을 갖춘 마스터 프라이빗뱅커(PB) 출신으로, 서울 강남구 역삼동 강남파이낸스센터에 위치한 SNI패밀리오피스센터1지점을 총괄하고 있다. 이곳은 삼성증권에 예탁한 가족 자산 1000억원 이상의 초고액 자산가를 전담하는 특별조직이다. 오 지점장은 "최근 고액자산가들 사이에서 사모대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며 "사모대출은 대출이 어려운 기업에 고금리로 자금을 빌려주는 구조로 높은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모대출의 경우 다양한 산업군으로 섹터를 분배해 위험을 줄이고, 담보가 잘 확보된 사례를 선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리서치 회사 프레퀸(Preqin)에 따르면 글로벌 사모 대출 순자산(AUM)은 2023년 1조6000억달러(한화 약 2300조원)에서 2029년 2조6000억달러(한화 약 3738조원)로
※한경 마켓PRO 텔레그램을 구독하시면 프리미엄 투자 콘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볼 수 있습니다. 텔레그램에서 ‘마켓PRO’를 검색하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 신긍호 베이직자산운용 대표 2024년에 미국증시 하락 예측했던 미국 투자은행, 올해에는 10% 이상 상승 예측2024년 초에 대부분의 미국 투자은행들은 2024년말에 미국증시가 상승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2023년에 상승세를 주도했던 M7이라고 불리는 주요 기술주들의 주가가 충분히 비싼 수준이고, 금리가 높고, 지정학적 이슈와 경기둔화 가능성 등이 주식시장의 상승세를 가로막는 요인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었습니다.하지만, 2024년에 미국 주식시장은 M7을 비롯한 주요 기술주들의 상승세가 이어졌습니다. 금융주, 인프라와 산업재 주식들의 상승세가 가세하여 미국 주식시장은 전체적으로 20% 이상의 상승세를 나타냈습니다.이렇게 2024년 미국 주식시장에 대해 빗나간 예측을 했던 미국의 주요 투자은행들이 2025년에는 10% 이상의 상승세를 나타낼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2024년말에 S&P500지수가 5881이었는데, 2025년말에 대부분의 투자은행들은 6600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오펜하이머 증권사에서는 7100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미국 주식들의 주가가 2024년보다 더 비싸졌고, 여전히 높은 시장금리 상황인데다 경기둔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인데도 2025년에 미국 주식시장이 10% 이상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는 배경은, S&P500지수에 편입된 기업들의 이익성장률이 2024년에는 9% 증가에 그쳤는데도 주식시장은 20% 이상 상승했으니 기업이익 성장률이 15% 수준일 것으
미국의 매파적 금리 동결로 하방 압력이 커진 비트코인(BTC, Bitcoin)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 정책에 대한 우려에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알트코인(비트코인 외 가상자산) 대다수는 두 자릿수 하락률을 기록했는데, 비트코인은 상대적으로 낙폭을 제한하며 손실을 방어하고 있다.시장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이 심리적 저항선인 10만달러를 안정적으로 돌파하면 회복을 이어갈 수 있지만 9만3500달러 지지선을 하회하면 낙폭이 확대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6일 오전 11시 39분 기준 현재 업비트 원화 마켓에서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0.36% 오른 1억5199만원(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9만7183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각 김치 프리미엄(해외 거래소와 국내 거래소의 가격 차이)은 최근 큰 폭으로 상승한 8.39%를 나타내고 있다. "트럼프 관세 충격…증시·가상자산 시장 출렁"글로벌 증시·가상자산(암호화폐) 시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광범위한 관세 정책 영향으로 격동의 시기를 보내고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 비상사태를 선언하고 국제경제비상권한법(IEEPA)을 앞세워 캐나다·멕시코·중국에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시장은 트럼프의 관세 조치에 롤러코스터를 탄 듯한 흐름을 보였다. 특히 가상자산 시장은 지난달 미국 중앙은행(Fed)의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금리 동결 이후로 하방 압력이 가중된 가운데 트럼프의 관세 강행 우려가 심화해 약세가 두드러졌다. 글로벌 관세 전쟁이 촉발되면 인플레이션이 높아질 수 있고 금리인하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일(현지시간) 캐나다와 멕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