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카카오도 뛰어들어
11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생활가전사업을 하는 H&A사업본부 산하에 그린하우스태스크포스를 최근 신설하고 식물공장사업에 진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LG전자는 태양광 발전, LED, 시스템 에어컨 등 식물공장에 필요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갖췄다. 빛과 온도, 습도 등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식물공장사업에 진출하면 상당한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계열사인 LG화학이 최근 동부팜한농을 인수하면서 종자, 원제(비료 원료) 기술을 확보한 것도 강점이다.
식물공장이 있으면 사막 한가운데서도 채소를 재배할 수 있다. 도시국가에서도 식량 자급이 가능해진다. 가뭄 등 자연재해로부터도 자유롭다. 식물공장 개념은 1970년대부터 나왔지만 채산성이 낮아 주목받지 못했다. 최근 LED, 정보통신기술(ICT) 등 관련 기술이 발전하면서 시장이 빠르게 커지고 있다.
파나소닉은 싱가포르 식물공장에서 생산한 상추 등을 현지에서 판매하기 시작했다. 국내에서는 SK텔레콤과 카카오 등이 최근 식물공장사업 투자에 나섰다.
김연중 농촌경제연구원 자원환경연구부장은 “식물공장은 만두 등 가공식품에 들어가는 채소 생산용으로도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남윤선 기자 inkling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