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1·2위 판매 정체된 사이 혼다코리아, 소형 이륜차 공략
작년 1만4631대 판매 16% 급증
위기 느낀 2위 KR, 신차 확대…1위 대림은 4만대 판매 목표
![](https://img.hankyung.com/photo/201602/01.11303256.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1602/AA.11303186.1.jpg)
혼다코리아의 지난해 신규 등록 대수는 1만4631대다. 전년보다 2058대(16.4%) 늘었다. 2위 KR모터스(1만5330대)와의 판매 격차를 2000대에서 700대 수준으로 좁혔다. 올해도 이 같은 성장세를 기록한다면 KR모터스를 제치고 2위에 올라설 가능성도 있다.
혼다코리아는 2010년까지 매년 3000여대를 팔았다. 이후 소형 이륜차 제품을 확대하면서 본격적으로 외형을 키웠다. 이 회사는 2010년 배기량 125㏄짜리 스쿠터 PCX를 출시했다. PCX 판매 호조로 이듬해인 2011년 4000대를 기록했고 2012년에는 6000대를 넘겼다. 이어 2013년 배달용 오토바이의 원조로 잘 알려진 ‘슈퍼커브’를 내놓았고, 이듬해인 2014년 1만대 고지를 훌쩍 넘겼다. 올해 판매목표는 작년보다 소폭 늘어난 1만5000대로 잡았다. 회사 관계자는 “내구성과 품질 경쟁력이 뛰어난 혼다 선호도가 높아 판매목표를 무난히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R모터스, “소형 이륜차 시장 공략”
국내 2위 자리를 위협받고 있는 KR모터스는 신제품 출시, 판매망 확대 등으로 혼다코리아와 격차 벌리기에 나섰다. 작년 3월 성상용 사장이 취임한 뒤 신차 개발과 연구인력 영입, 해외 수출 확대 등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작년에는 주력 모델인 스포츠 모터사이클 ‘엑시브250’ 신차를 내놓았다.
성 사장은 “소형부터 대형 모터사이클까지 모든 부문에서 신차를 개발하고 있어 성장 잠재력이 높다”며 “올해는 소형 이륜차 신차 DD110과 B6 등을 내놓을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DD110은 배기량 110㏄짜리 상용 이륜차로 슈퍼커브와 경쟁차종이다. B6는 PCX와 비슷한 스쿠터 차종이다. 성 사장은 “소형 이륜차 출시로 내수 판매량이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한다”며 “중형 모터사이클인 GV300과 전기차 등도 내놓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KR모터스는 라오스의 한인(韓人) 기업 코라오홀딩스가 2014년 S&T모터스를 인수해 이름을 바꾼 회사다.
◆업계 1위 대림 “올 판매량 4만대 회복”
업계 1위 대림자동차의 판매량도 줄고 있다. 2000년대 초반 7만대가 넘었지만 작년에는 3만6650대로 감소했다. 작년 10월 대림자동차의 새 지휘봉을 잡은 김방신 사장은 “올해 4만대 이상 팔아 시장점유율을 40%로 끌어올리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소형 스쿠터 Q2의 2016년형 신차와 함께 상용 이륜차 2종을 새로 내놓을 계획이다.
김 사장은 “그동안 신차를 선보일 때 중국산 저가 부품을 조립해 쓰면서 품질 경쟁력이 약화된 것이 판매 감소의 주 원인”이라며 “올해 내놓을 신차는 품질을 한 단계 높여 출시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대림자동차는 배기량 125㏄ 이하 소형 스쿠터를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다. 가장 큰 모델도 배기량 250cc 중급 이륜차다. 회사 관계자는 “국내에서 소형 이륜차 판매비중이 큰 만큼 신차 출시로 4만대 이상 판매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내 이륜차 시장은 2000년대 초반 연간 30만대 규모로 성장했다. 이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시장 규모가 10만대 수준으로 위축됐다. 장기간 대림자동차와 KR모터스의 2강 체제가 유지되면서 연구개발(R&D)이 부족했고, 바이크에 대한 관심도 그리 높지 않았던 탓이다. 하지만 3강 구도가 형성되고, 레저용 바이크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시장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바이크 3사의 시장점유율은 70%가량이다. 나머지는 BMW, 할리데이비슨, 대만산 등이 차지하고 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