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글로벌 증시 안정을 위한 첫 단추로 꼽히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25일 국내 증시는 각국의 정책 공조 기대감에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주요국 간 의견 대립이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일각에선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24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은 보고서를 발표하고 "증가하는 경기 둔화 가능성에 대응하기 위해 선진국들이 정부 지출 확대에 협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G20 회의에서 재정 여력이 있는 국가들이 공공 지출을 확대하는 협정을 체결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194억 유로(26조3800억원)의 재정 흑자를 낸 독일을 염두에 둔 발언이라는 해석이다.

이에 대해 옌스 바이트만 분데스방크(독일 중앙은행) 총재는 “세계 경제는 회복 중”이라며 과도한 우려에 지적하며 맞섰다. 그는 "유럽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은 이미 대단히 완화적이며 추가 완화는 장기적인 위험과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유로존의 임금 상승률이 낮다는 것을 위험신호로 보고 있지만 설득력이 없다"며 "일부 국가가 점유율을 찾아오려면 가격 경쟁력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유럽 경제에 대해서도 올해부터 점진적인 회복이 이뤄질 것이라고 낙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미국도 IMF의 '위기의식'에 공감하지 못한다는 반응이다.

제이컵 루 미 재무장관은 "세계의 모든 수요를 미국이 제공할 수는 없다"며 "중국이 더 많은 대책을 펼쳐야 하며 독일과 같은 흑자국들도 부양책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실물경제가 시장이 생각하는 것만큼 심각하지 않다"며 "위기 상황이 아닌데 대응책이 나올 것이라고 예상하지 말라"고 밝혔다.

글로벌 경기 부양에 대해 미국에 과도한 관심과 요구가 쏟아지는 것이 부당하다는 맥락으로 해석되고 있다.

스탠리 피셔 미 중앙은행(Fed) 부의장도 같은 취지의 발언에 나섰다. 그는 "지난 2011년을 포함해 지금처럼 변동성이 확대됐던 시기는 과거에도 있었지만 미국 경제에 가시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며 "글로벌 금융시장의 혼란이 미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각국 주요 인사들이 엇박자를 내면서 전문가들도 G20 회의에 대한 기대치를 낮추고 있다. G20 회원국들의 이해관계가 각기 다르고 강제력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공조를 이끌어 낼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분석이다.

강재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국가 부채 부담 및 균형 재정 노력 등의 이유로 모든 국가들이 재정 부양책 공조에 참여하기는 어렵다"며 "외환 정책 공조 역시 전방위적인 공조가 아닌 지난 G20회의 수준의 공조를 되풀이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공조가 예상보다 낮은 수준에서 이뤄질 경우 국내 증시를 비롯한 신흥국들에는 또 한 번의 위기가 찾아올 수 있다. 미국이 긴축 정책을 변경하지 않는 상황에서 달러 강세가 이어지고 신흥국 통화가치가 다시 약세로 전환할 경우 자금 이탈이 가속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강 연구원은 “정책 공조가 이뤄지지 않으면 신흥국들의 자금 이탈이 지속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신흥국의 자본유출에 따른 채무 불이행을 방지하기 위한 긴급자금 지원, 통화스와프 등의 합의 여부를 유의해서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아름 한경닷컴 기자 armij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