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하는 재테크 전략…위험부터 예측하라
효과적인 재테크를 위해서는 꼭 해야 하는 일도 있지만, 하면 안 되는 일도 있다. 투자 상품을 고르는 것만큼 투자하지 말아야 할 상품을 골라내는 게 중요하다는 얘기다. 주변에서 위험자산에 거액을 투자했다가 가격이 급락해 큰 손해를 본 투자자를 흔치 않게 볼 수 있다. 투자해야 할 자산과 손대지 말아야 할 자산을 제대로 구분하지 않아 생긴 일이다.

최근 투자 상품의 종류가 너무 많아지다보니 옥석을 가려내는 게 쉽지 않다. 펀드만 해도 자산에 따라 주식형, 혼합형, 채권형, 원자재 펀드가 있다. 투자 지역에 따라 국내 펀드, 해외 펀드로도 나뉜다.

투자를 결정하기 전에 일단 이들 상품의 과거 수익률과 성과를 봐야 한다. 위험이 얼마나 큰지를 면밀하게 살펴보기 위해서다. 오랫동안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거나 손실 폭이 큰 상품은 조심해야 한다.

위험을 측정하는 지표로는 표준편차가 가장 일반적이다. 표준편차가 크다는 말은 자산 가격이 크게 출렁인다는 뜻이다. 투자 시점이 좋지 않으면 짧은 기간에 손해가 클 수 있다는 의미다.

대개 채권보다 주식 펀드가 더 위험하고, 선진국보다 신흥국 펀드가 더 크게 출렁인다. 원자재 펀드도 주식형 못지않게 크게 오르내리는 특성이 있다. 자산 가치 변동을 견뎌내려면 자신의 위험 성향을 잘 파악해야 한다. 이와 함께 가격 등락 폭이 큰 투자 상품은 당장 필요하지 않은 여유 자금으로 적절한 비중으로 투자를 결정해야 한다.

위험 종목 투자를 꺼리는 사람은 예금이나 보험 위주로 자산 증식을 추구해야 한다. 자산의 일부만 위험 상품에 투자해 적어도 3년 이상 장기 투자해야 한다. 투자로 큰 돈을 벌기 위해서는 거시 경제의 흐름을 잘 파악하고 장기 추세에 올라타야 한다. 인구 고령화 등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변화를 잘 살펴보고, 투자 대상을 명확하게 파악하면 실수를 줄일 수 있다. 투자 대상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가 없으면 투자 기간 중간에 고수익의 기회를 저버리고 중도 포기하는 일이 생긴다. 길을 건널 때 좌우를 살피듯이 투자하기 전에도 위험을 예측하고 검토해야 실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해도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금융 상품에 대한 절세 혜택이 줄어드는 추세다. 따라서 남아 있거나 새로 생기는 절세 금융 상품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오인석 < 국민은행 WM컨설팅부 수석전문위원 >